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승만유묵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승만유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승만의 유묵. 서예는 문자(文字)를 소재로 하는 조형예술(造形藝術)이다. 서예는 점과 선·획(劃)의 태세(?細)·장단(長短)‚ 필압(筆壓)의 강약(强弱)·경중(輕重)‚ 운필의 지속(遲速)과 먹의 농담(濃?)‚ 문자 상호간의 비례 균형이 혼연일체가 되어 미묘한 조형미가 이루어진다. 서예의 특징으로는 글자를 쓰는 것으로써 서예술이 성립된다. 점과 선의 구성과 비례 균형에 따라 공간미(空間美)가 이루어지며 필순(筆順)‚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성된다. 필순에 따른 운필의 강약 등으로 율동미가 전개된다. 먹은 오채(五彩)를 겸하여 검정색이지만 농담(濃?)·윤갈(潤渴)·선염(渲染)·비백(飛白) 등이 운필에 따라 여러 색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영묘(靈?)한 결과를 낳고 있다. 서체로는 전(篆)‚ 예(隷)‚ 해(楷)‚ 행(行)‚ 초(草) 가 있다. 중국 황하 문명기때 새나 나뭇가지 등과 닮은 글자를 만든 것이 시초로‚ 그 후 은(殷)나라때 거북의 등뼈나 짐승의 뼈에 예리한 기구로 새긴 갑골문을 거쳐 주(周)나라때 비로소 글자다운 체재(體裁)가 생겼는데 종정고문(鐘鼎古文)이라고도 하여 종(鐘)이나 청동기에 새겼다. 동주(東周)시대에 사주가 만든 대전(?篆)이 나타났고 대전을 필사(筆寫)하기 편리하게 점획(點劃)을 단정한 모양으로 한 것이 소전(小篆:篆書)으로 진(秦)나라의 이사가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정막(程邈)이 대전과 소전을 다시 간략화한 글자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예서(隷書:古隷)이다. 후한초기 유덕승(劉德昇)에 의해 행서(行書)가 만들어졌고‚ 후한 말기에 해서(楷書)도 생겼다. 해서·행서·초서는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서체이다. 서예는 고대 중국에서 발달하여 문자를 뚜렷하고 아름답게 형성하려는 것으로 비롯되었지만 현대에는 조형성과 예술성도 겸하게 되었다. 특히 동양의 철학은 내면과 외면의 일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아름다운 내면의 정신으로 외면으로 드러난다고 하여 서예의 기교보다는 그사람의 인품을 더 중요시 여겼다. 성균관대학교의 건학이념은 유학사상으로 학문을 익히면서 덕을 닦고 정의구현에 앞장서고 스스로의 언행에 대해 반성하는것이다. 이러한 유학의 교육이념과 교육지표 그리고 교육과정을 근거하여 역대 선사(先師)들은 국가의 동량을 배양하기 위해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고 가르쳐주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아직도 성숙하지 못한 인재를 성취시키고(成人材之未就) 이제껏 고르지 못한 풍속을 가지런하게 하는(均風俗之不齊) 교화작업에 국가적인 역량을 경주 하였다. 이 글은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의 행서로‚ 성균관대학교의 의미인 성균(成均 : 成人材之未就 均風俗之不齊)의 의의가 적혀 있다. 필세는 유연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