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존(제기)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존(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제기는 제례(祭禮)에서 사용되는 그릇 및 관련 도구들을 말한다. 제기는 용도에 따라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제기와 제물이나 제찬과 같은 제수(祭需)를 담는 제기‚ 그리고 그 밖의 것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박물관의 존(尊)은 술잔의 일종이다.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작(爵)·계이(鷄彛)·조이(鳥彛)·가이(呵彛)·황이(黃彛)·희준(犧暹)·상준(象暹)·산뢰(山來)·착준(著暹)·호준(壺暹)·용찬(龍瓚) 등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작과 산뢰는 4계절 모두 쓰이나‚ 계이·조이·희준·상준은 봄과 여름의 제사에만‚ 가이·황이·착준·호준은 가을과 겨울의 제사에만 사용된다. 작이란 구리로 만든 술잔의 하나로‚ 위로는 양쪽에 자루가‚ 아래로는 세 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계이와 조이도 구리로 만든 술잔의 하나로‚ 겉에 닭과 봉황을 새겨 넣었으며‚ 각각 명수(明水:정화수)와 울창(鬱囚:일종의 향초로서‚ 검은 기장과 섞어서 빚은 향주도 같은 이름으로 쓰임)을 담는 데 쓰인다. 모두 잔받침으로 받쳐놓도록 되어 있으며‚ 잔에는 뚜껑이 달려 있다. 가이와 황이도 술잔의 하나로‚ 겉에 벼이삭과 눈 두개를 그린 제기로 각각 명수와 울창을 담아놓는 데 쓰인다. 모두 구리로 만들었으며‚ 잔을 잔받침대로 받쳐놓게 되어 있다. 착준과 호준은 구리로 되어 있으며‚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단지 모양의 제기이다. 착준에는 명수와 예재를‚ 호준에는 명수와 앙재를 담는다. 산뢰는 구리로 되어 있는 단지 모양의 술잔으로‚ 겉에 산과 구름문양을 그린 제기이다. 이 술잔을 제사에 사용하는 뜻은 구름과 우레의 넓은 덕택이 마치 재왕의 덕이 모든 신하에게 미치는 것과 같다는 것이라고 한다. 용찬은 구리로 만든 술잔이다. 잔의 양쪽에 용머리와 자루를 달아 잔받침대 위에 놓게 되어 있다. 울창을 담아 땅에 쏟아 붓는 데 사용하며‚ 용머리를 통하여 술이 나오게 되어 있다. 희준과 상준은 소와 코끼리 모양을 한 잔으로 되어 있거나‚ 같은 모양의 잔받침대 위에 잔을 올려놓도록 만들어진 제기인데‚ 구리로 만들었다. 잔에는 뚜껑을 덮게 되어 있다. 희준에는 명수와 예재(醴齊:단술‚ 醴酒라고도 한다)를 담으며‚ 상준에는 명수와 앙재(埋齊‚ 막걸리·埋酒라고도 한다)를 담는다. 본 박물관의 유물이 바로 여기에 속하며 소의 모양을 하고 있다. 희준과 상준은 종묘문묘제례 때 사용되었던 제기이다. 술잔 자체가 소의 모양을 하고 있다. 몸통은 통통해 보이는 둥근 모양이며 상면(上面)에 홈이 파여있어 그 안에 술을 부을 수 있다. 다소 뚱뚱해 보이는 몸통에 비해 네 다리는 굉장히 가늘고 섬세해 보이며 몸통을 안정감있게 지탱해주고 있다. 소의 머리부분은 세모꼴로 단순화되어있으며 삐죽 튀어나온 귀가 소의 특징을 잘 묘사해주고 있다. 높이가 14.4cm로 다소 큰 잔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