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십장생문댕기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십장생문댕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댕기는 머리를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한 자줏빛 ·검은빛의 헝겊을 말하는데‚ 좁은 뜻으로는 미혼자의 땋은머리 끝에 드린 헝겊을 가리킨다. 헝겊으로 머리를 장식하는 습속은 <당서(唐書)> `동이전(東?傳)` 신라조에 “여자는 아름다운 머리 띠를 머리에 둘러 아름다운 구슬과 빛깔 좋은 비단(?綵)으로 장식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삼국시대에도 댕기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시대의 댕기는 용도에 따라서 쪽댕기 ·제비부리댕기 ·앞댕기 ·도투락댕기 ·말뚝댕기·큰댕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쪽댕기:쪽찐머리를 곱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댕기이다. 젊은 사람은 빨강‚ 나이든 사람은 자주‚ 과부는 검정‚ 상제는 흰색이었다. 얹은머리의 자적댕기‚ 의식 때의 큰머리 ·어여머리를 할 때의 매개댕기도 쪽댕기에 속한다. 매개댕기는 자줏빛 명주에 솜을 넣어 길고 통통한 끈처럼 만든 댕기이다. ② 제비부리댕기:미혼자의 땋은머리에 드리는 댕기이다. 처녀들은 빨강‚ 총각은 검정을 사용하였는데 크기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 말뚝댕기 다음 시기에 사용하였으며 처녀들의 댕기는 화려하게 금박을 박았다. ③ 앞댕기:혼례 때 큰댕기와 짝을 이루어 양쪽 어깨 위에서 앞으로 늘이는 댕기이다. 큰 비녀의 양쪽 여유분에 적당한 길이로 맞추어 감아 양 어깨 위에 드리운다. 나비는 5 cm 내외이며 금박을 박았고 양끝에는 진주 ·산호주 장식을 하였다. ④ 도투락댕기:혼례 때에 신부가 드리는 큰댕기를 지칭하기도 하나‚ 흔히 그와 형태가 같은 소형의 어린이용 댕기를 일컫는 예가 많다. 긴 직사각형의 댕기를 2폭이 나란하도록 반으로 접되‚ 접힌 위가 세모꼴이 되게 한다. 여기에 조그마한 끈을 달아 머리가 채 자라지 않은 어린이의 뒤통수에 바짝 달아맨다. ⑤ 말뚝댕기:어린이용 댕기로‚ 도투락댕기를 맬 시기는 지나고 제비부리댕기를 드리기에는 아직 이른 때에 사용하였다. 긴 직사각형의 댕기를 반으로 겹쳐 접어 윗부분에 끝을 달아 뒤통수에 달아맨다. 도투락댕기와는 달리 반으로 접힌 윗부분이 네모꼴이다. ⑥ 큰댕기:궁중 ·양반집에서 신부가 예장할 때에 사용하는 댕기이며 도투락댕기라고도 한다. 짙은 자줏빛 비단이나 사(紗)로 만들어 뒤에 길게 늘이기 때문에 뒷댕기 ·주렴(朱簾)이라고도 한다. 너비는 10cm 정도로 두 갈래이며‚ 윗부분은 삼각형으로 붙어 있고‚ 길이는 치마 길이보다 약간 짧다. 전체에 금박을 박아 화려하며‚ 위에는 석웅황(石雄黃)과 옥판을 달고 밑에는 석웅황 ·밀화(蜜花) 등으로 만든 매미를 5마리 정도 달아 두 갈래의 댕기를 연결하였다. 경기 이외의 남쪽이나 북쪽 지방에서는 금박 대신 비단색실로 장식하고 칠보꽃을 화려하게 둘레에 돌려 붙이기도 하였다. 북서 지방에서 혼례에 사용하였다는 고이댕기도 큰댕기의 일종이다. 이 중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십장생문 댕기 역시 큰댕기의 일종이다. 너비는 13cm에 두 갈래이며‚ 끝부분이 삼각형으로 붙어 있다. 댕기의 윗부분에는 황금색 실로 `오복구전(五福俱全) 자손창성(子孫昌盛)`-복이 함께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수가 놓여져 있으며 전면에 걸쳐 십장생이 화려하게 수 놓여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