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면와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면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와당이란 기와의 마구리로‚ 막새라고도 한다. 수막새와 암막새 등이 있다. 기와 한쪽 끝에 둥글게 모양을 낸 부분으로‚ 처마 끝에 놓이는 수키와나 암키와에 달리는데‚ 원형(圓形)·반월형(半月形)·삼각형(三角形)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진(秦)나라가 전면적으로 원형 와당을 채택한 이후로는 한(漢)나라 초의 약간의 반월형을 제외하고 모두 원형이 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진나라 아방궁(阿房宮)의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봉산군 토성(土城)과 대동강 남쪽의 토성 등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신라시대에는 뛰어난 와당이 만들어졌고 그 기술이 일본에까지 전해졌다. 고려시대에 이르러 질이 점점 저하되었고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으로 변형와당이 나오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것을 답습하여 거의 볼품 없게 되었다. 무늬에는 진(秦)·한(漢)나라 이후에는 주로 문자를 새겼는데‚ 한병천하(漢倂?下)·무극(無極)·천추만세(千秋萬歲)·장락미앙(長樂未?)·연수만세상여천지장(延壽萬歲常與?地長) 등의 길어(吉語)와 영평15년(永平十五年)·대진원강(?晉元康) 등 연호를 새긴 것도 있다. 이들은 전서(篆書)를 바탕으로 하면서 장식성을 가미하여 장식문자의 전형을 이루었다. 문자와(文字瓦)는 당(唐)나라에 이르러 쇠퇴하고 연꽃(蓮花)무늬로 바뀐다. 고구려의 와당은 연꽃무늬를 새긴 파와(巴瓦)가 대표적이며 장군총(將軍塚)에서 나온 와당은 테두리가 두껍고 중앙 원형에서 2개의 선을 8방향으로 그리고 그 사이에 연꽃무늬를 새겼다. 백제의 와당도 연꽃무늬의 파와가 많으나 테두리가 고구려 것보다 넓게 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와당은 매우 다양하여 연꽃무늬를 비롯한 풀무늬·인동(忍冬)무늬·도깨비무늬·사자(?子)무늬·보상화(寶相花)무늬·사람얼굴무늬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질이 점차 낮아졌으나 뱀눈(蛇目)무늬의 와당 등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도 파와에 도깨비무늬·봉황무늬·연꽃무늬·범자(梵字)무늬 등이 있으며‚ 당초와(唐草瓦)에는 화초(花草)무늬·번룡(蟠龍)무늬 등이 있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그 중에서도 귀면와이다. 귀면화는 벽사의 의미를 지닌 특수한 기와로 괴수(??)의 얼굴을 나타내어 지붕의 마루 끝 마구리에 붙였다고 한다. 전체의 모양이 상촉하관(上促下寬)으로 밑은 수평이거나 또는 둥글어서 수막새 등에 맞도록 되어 있고 눈썹 사이에 못 구멍이 나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귀면와에는 눈썹 사이에 못 구멍이 없고 평저(平底)로 면(面)에 고리 형식이 만들어져 있다. 귀면(鬼面)은 눈·코·입이 중점적으로 표현되었고 남은 공간에는 뿔과 수염이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넓은 주록대(周綠帶)에는 1조의 돌대(突帶)가 돌려져 있다. 입 부분의 파손이 심하여 치아가 확실치 않고 주록대에도 파손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