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철화모란문매병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철화모란문매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회청자(繪靑磁)는 순청자(純靑磁)에 철분안료로 문양을 나타낸 청자의 일종이다. 회고려(繪高麗)·화청자(怜靑磁)·철회청자(鐵繪靑磁)라고도 한다. 문양 표현기법은 다른 청자와 같이 회청색 도토(陶土)로 성형한 뒤 시문하고 청자유(靑磁釉)를 씌워 구워 만드는 제작과정을 거친다. 회청자가 가지는 특징은 먼저 철분안료 또는 자토(蜚土‚ 黑土)를 사용하여 기면(器面) 위에 붓으로 문양을 그린 것이지만‚ 번조법이 일반청자와 같은 환원번조법이 아닌 산화번조법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문양의 소재도 모란문·국화문·국화당초문·초화문(草花文)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점이다. 그밖에도 기종은 유병(油甁)·광구병(廣口甁)·매병(梅甁)·호(壺)·수주형(水注形) 등이 많으며 완(燔)·발(鉢)은 유품이 많지 않다. 회청자 기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구형 구연부(口緣部)를 가지는 유병·매병·광구병 등은 그 기형을 통일신라시대의 석기에서 찾을 수 있다. 회청자의 문양은 일반 청자의 문양에서 느낄 수 있는 정교·단아함에 비하면 활달하고 강한 회화적인 문양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문양의 감각은 후대의 분청사기(粉靑砂器)와 철화백자(鐵怜白磁)에서도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도자문양의 일반적 특성이 되기도 한다. 본 박물관의 회청자모란국화문매병은 급히 떨어져 동상부에서 최대를 이루다 서서히 좁아져 내려간 형태이다. 문양은 철사로 어깨에는 촘촘한 국판문대(菊瓣紋帶)를‚ 저부는 철사로 칠한 부분을 국판문대로 돌렸다. 동부 전면에 자유로운 필치의 모단판지문(牡丹板枝紋)을 나타내었으며‚ 회청색의 청자유를 전면에 시유하였으나 미세한 유영렬(釉永裂)이 남아있다. 굽다리에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술 등을 담아 사용하였을 이 매병은 초기 매병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최근 발견된 해남(涇南) 진산리(?山里) 일대의 요(窯)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