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기경 지팡이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추기경 지팡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추기경이 사용했던 지팡이.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노인·신체장애인·등산가·여행자 등이 사용하며‚ 때로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 권위의 상징으로 또는 호신용으로도 이용하였다. 본래 나뭇가지나 대나무 등의 막대기를 뜻하나‚ 정확히는 워킹스틱(walking stick)·스탭(staff)이며‚ 케인(cane)이라고도 한다. 역사는 오래되어‚ 고대 이집트나 오리엔트의 유물 가운데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서는 일반인의 보행용 외에 왕이나 신의 존엄성과 위력의 상징으로도 때때로 등장하였다. 중세에는 군주나 승려의 표상(表象)으로서 불가결한 것이었다. 또 여행자나 순례자(巡禮者)‚ 농부에게도 일상용품으로 사용되었다. 여성의 액세서리로 출현된 것은 11세기이며‚ 15세기에도 일시 보급되었으나 성행한 것은 18세기였다. 케인은 16세기 때 주로 남성용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여 17세기 프랑스에서는 신사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액세서리가 되었으며‚ 그후 영국에서도 유행되어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보급에 따라 `손위의 사람을 방문할 때에는 케인을 휴대해서는 안된다`‚ `옆에 끼고 걷는 것은 최악(最?)이다` 또는 `스틱의 끝을 낙서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예절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이 경향은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으나‚ 얼마 안 가 액세서리로서의 스틱의 무익함을 인식하게 되고‚ 결국 20세기에 이르러 이 유행은 없어지고 기능적인 역할만을 하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특징> 길이 187cm 금속으로 제작된 추기경 지팡이이다. 지팡이 윗부분이 아래쪽으로 둥글게 말려있으며‚ 몸체의 중간중간에 마디가 들어가 있다. <참고> 김수환(金壽煥) 추기경(1922-) 서울대교구장. 세례명은 스데파노. 본관은 광산(光山). 김동한(金東漢‚ 가오르) 신부의 아우. 경북 대구 남산동에서 김영석(金永錫‚ 요셉)과 서중하(徐仲?‚ 마르티나)의 6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이 천주교와 관련을 맺게 된 것은 조부 때부터인데‚ 조부인 김보현(金甫鉉‚ 요한)은 1868년 무진박해(戊辰迫害) 때 충남 논산군 연산(連山)에서 체포되어 서울에서 순교하였다. 이때 조모인 강말손(?末孫)도 남편과 함께 체포되었으나 임신한 몸이었으므로 석방되어 영석을 낳게 되었으며‚ 영석은 성장한 뒤 영남 지방으로 이주하여 옹기장사를 하다가 혼인한 뒤 대구에서 정착하였다. 김수환은 이후 부친을 따라 군위(軍威)로 이주‚ 그곳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1933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예비과를 거쳐 동성상업학교 을조(소신학교)에 입학했다. 1941년 동성상업학교를 졸업한 드러내는 데 많은 역할을 하여 교세를 확대시켰다. 한편 1968년 서울대교구장에 취임하면서 “교회는 높은 담을 헐고 사회 속에 교회를 심어야 한다.”는 인사말을 통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따른 교회 쇄신과 현실 참여의 원칙을 밝혔다. 동시에 가난하면서도 봉사하는 교회‚ 한국의 역사 현실에 동참하는 교회상을 제시하여 교회 안팎의 젊은 지식인‚ 노동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고‚ 이후 정치 현실과 노동문제에 대한 강경 발언을 서슴지 않음으로써 대내외적으로 인권 옹호자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김 추기경의 사회 교리에 대한 의식으로 한국 천주교회는 제3공화국 이래 현재까지 정치권력에 의해 많은 고난과 희생을 받아 왔지만‚ 그 희생과 고난의 대가로 교회의 지위가 대내외적으로 크게 격상되었고‚ 2000년대 복음화를 위한 발판도 다지게 되었다.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조오찌 대학(上智?學) 문학부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1944년 학병으로 강제 징집되어 동경 남쪽 후시마(父島)에서 훈련을 받던 중 종전(終戰)을 맞고 조오찌대학에 복학했다. 그리고 1947년‚ 해방을 맞이한 조국으로 돌아와 성신대학(가톨릭 대학의 전신)에 편입‚ 4년 후인 1951년 9월 15일 대구에서 서품되었다. 이후 1970년 한국 천주교 주교 회의 의장과 여러 분과 위원장‚ 주교 회의 의장과 여러 분과 위원장‚ 주교 회의 산하 여러 전국 단체들의 총재를 역임했으며‚ 국내외의 여러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울러 그 동안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 시성 운동‚ 해외 선교 사업‚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 행사‚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행사‚ 서울 제44차 세계 성체 대회 등을 통해 한국 교회를 국내외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