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비파

추천0 조회수 45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비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궁중에서 쓰인 대표적인 당악기의 하나. 일명 사현비파 또는 곡경비파라고 부른다. 악기 분류법에 의하면 사부악기 또는 현명악기에 속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이 악기의 몸통길이는 2척 4촌이 조금 넘으며 너비는 1척 4촌이고‚ 목의길이는 7촌 2푼으로 총길이가 약 90cm 가량이다. 몸통의 모양은 물방울이 떨어질 때의 모양과 비슷하며 목부분이 ㄱ자처럼 굽었고‚ 굽은 목에 4개의 주아가 좌우로 나누어 꽂혀 있으며 몸통 뒤에 악기를 멜 수 있도록 달아놓은 담조아라는 끈이 있다. 목부분의 앞에 4개의 주가 볼록 튀어나와 있고 몸통 앞에 8개의 주가 붙어 있으며 모두 12개의 주 위로 자현‚ 중현‚ 대현‚ 무현의 넉 줄이 상하로 매여 있다. <악학궤범> 권 7의 악기 만드는 법에 의하면‚ 당비파의 몸통 뒷면 재목으로는 화리가 제일 좋지만‚ 철양‚ 황상‚ 산유자‚ 괴목‚ 산행‚ 박달나무같이 단단하고 빛깔 좋은 나무도 재료로 쓰인다. 몸통 앞면의 재목으로는 두충이 제일 좋지만 노목‚ 아목처럼 부드럽고 결이 곧은 나무도 좋다고 하였다. 머리‚ 목‚ 장식에 쓰이는 재료는 화리‚ 오매‚ 탄시‚ 산유자같이 단단한 나무들이다. 주는 반죽으로 만들고 둘러메는 고리는 은이나 두석으로 만들며 담조아는 홍진사를 쓴다고 하였다. 그리고 무현이 제일 굵고 대현과 중현이 그 다음으로 굵으며 자현이 제일 가는데 모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다고 하였다. 당비파의 역사는 고고학자료 및 문헌에 의하여 추적될 수 있는데 고고학자료에 의하면 그 역사가 통일신라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으며 문헌을 바탕으로 해도 통일신라시대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악지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당비파는 비파로 불린 듯하며 그 비파란 말은 향비파와의 대칭어로 사용되었으리라고 짐작된다. 그러나 <삼국사기>의 기록에서는 오직 비파가 넉 줄로 되어있고 3척 5촌의 크기라고 <풍속통의>에서 인용하였고‚ 비파의 명칭에 대한 설명은 <석명>에서 인용되었을 뿐‚ 신라시대 당비파에 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없다. 그러나 682년(신문왕2년)에 완성되었다는 감은사터에서 발굴된 청동제 사리기의 기단에 놓인 주악천녀가 연주하는 비파는 봉황새의 머리 모양으로 장식된 곡경비파 즉 당비파로서 오른손에 쥐어진 발목에 의해서 연주되고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772년(혜공왕8년)에 건립된 경상북도 문경의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에 새겨진 주악신이 연주하는 비파도 역시 네개의 주아와 넉줄로 된 곡경의 당비파임이 분명하다. 당비파라는 명칭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고려사> 식화지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