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옹기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옹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저장용구의 하나. <일반사항 및 특징> 운두가 있고 배가 조금 부르면 전이 달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으로‚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큰것은 화초무늬 등으로 장식을 하며‚ 또 기벽 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 서너줄의 띠를 두르거나 물방울 모양으로 요철시키기도한다. 독에는 주로 곡물‚간장이나 된장을 비롯한 조미료‚ 술 따위를 담아둔다. 곡물이 담긴 독은 헛간이나 곳간에 두나‚ 조미료가 담긴 독은 집안에서도 햇볕이 잘 쪼이는 양지바른 곳에 돌로 낮은 단을 쌓아 장독대를 만들고‚ 그곳에 모아둔다. 예로부터 한 가정 주부의 부지런하고 게으른 정도는 장독대의 청결상태로 평하였기에 주부들은 장독대 치레에 지대한 정성을 쏟았다. 특히 전라남도 를 중심으로 한 호남지방에서는 장독대 주위에 꽃을 치장하였으며‚ 상류가옥에서는 이에 출입문을 달기까지 하였다. 뿐만 아니라 집을 지키는 토지선을 이 장독대에 모셔두는 것으로 보아서도 한 가정에서 장독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오지나 질그릇의 우반이 어려운 산간지대에서는 굵은 피나무의 속을 파내어 독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굵은 피나무를 적당한 길이로 자른 뒤에‚ 양쪽에서 속을 파내어 5cm 두깨 의 원통을 만든다. 아래에는 소나무로 된 함지 모양의 받침을 끼우고 그굽에는 괭이풀을 이겨발라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주록 겨울철의 김치를 갈무리하여 이를 김칫독이라고 부른다. 이의 무게는 5kg 안팎이다. 곡물이 담긴 항아리나 독은 두트레방석으로 덮는다. 이것은 짚으로 둥글고 두툼하게 짠 것으로‚ 한쪽에 고리를 달아 존잡이에 대신한다. 이의 수명은 2-3년이며‚ 무게는 1.5kg 안 팎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