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긁개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긁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농기구는 주로 인력용·축력용(畜力用)으로 사용되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다. 농경(農耕)은 신석기 문화단계 후 충적세(沖積世)에 들어와서 현재와 거의 같은 자연환경이 되면서 싹텄다.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아메리카의 여러 대륙에서 각기 다른 자연환경에 대응한 농경이 개시되어 각기 다른 발달과정‚ 농업형태‚ 작물의 종류‚ 경지의 특성‚ 문화의 전통에 의하여 농구를 비롯한 농경기술은 천차만별로 발달하였다. 그리하여 처음 단순한 막대로 시작한 농구는 경서용구(耕鋤用具)·파종용구(播種用具)·시비용구(施肥用具)·관개용구(灌漑用具)·수확용구(收穫用具) 등 농업의 전과정에 걸쳐 많은 종류의 농구가 생겼고‚ 또 운반용구 등 부차적(副次的)인 것도 발달되었다. 조선시대 말까지는 인력 중심의 재래농구를 사용하여 왔고‚ 그 밖에 축력을 이용한 경운용구로 쟁기‚ 파쇄용구(破碎用具)로 써레‚ 운반용구로 우마차가 쓰였고‚ 가공용구로 방아‚ 자연의 힘을 이용한 물방아가 있었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농구로는 ① 경서용구:쟁기·쇠스랑·나래·곰방메·나무쇠스랑·가래·괭이‚ ② 파쇄 및 진압용(鎭壓用) 농구:써레·곰데·번지‚ ③ 파종 및 시비용구:삼태기·바구니·오줌바가지·오줌통·씨앗통·거름삼태기‚ ④ 중경 ·제초용구(中耕除草用具):호미·극젱이(후치)‚ ⑤ 관개용구:용두레·것두레‚ ⑥ 수확용구:낫‚ ⑦ 조제용구:갈퀴·키·체·비·도리깨·넉가래·멍석·도래방석·풍구‚ ⑧ 정곡(精穀) 및 정분용구(精粉用具):돌절구·맷돌·물방아·나무메‚ ⑨ 운반용구:지게·길마멍에·거름지게·베거울채·거름발채·달구지 등이 있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는 도급기(稻扱機)·당기(唐箕)·만석(萬石)·현미기(?米機) ·비중초(備中說)·삽·족답식 양수기(足踏式揚水機)·삼덕초(三德說)·작두 등도 사용되었다. 그러나농업의 근대화가 추진되면서 농구도 기계화되어 재래식 농구가 사라지고 농업기계로 대치되고 있다. <상세설명> 이것은 논밭의 흙을 고루 가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얇고 긴 철을 반으로 구부린 것 같은 형태로 집게와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양쪽 끝이 동그랗게 처리되었으며 가운데는 뚫려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