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담뱃대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담뱃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담배를 피우는 데 필요한 도구의 하나. 우리나라의 옛 문헌에서는 연죽‚ 연관‚ 연배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그 중 연죽이 일반적이다. 담뱃대는 담배를 담아 불태우는 담배통과 입에 물고 빠는 물부리‚ 그리고 담배통과 물부리 사이를 연결하는 설대로 구성되어 있다. 담배통은 대꼬바리‚ 꼬불통‚ 물부리는 물추리‚ 빨부리 등으로 일컫기도 한다. 또 설대가 긴 것은 장죽‚ 설대가 없거나 짧은 것은 곰방대라 부른다.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하여진 것은 임진왜란 후 광해군 때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 흡연구는 필연적으로 담배보급 이후에 수반되었을 것이다. 담배는 일본을 통하여 들어온 까닭에 초기의 담뱃대는 역시 일본의 양식이 이식되는 형편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담뱃대는 대일무역의 창구구실을 하였던 동래에서 일찍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명성을 굳혔던 것으로 보인다. 19세기의 <오주연문장전산고>나 <규합총서>에서 동래연죽을 유명물산의 하나로 지목하였고 <춘향전>에서도 "왜간죽 부산대에 담배를 너훌지게 담는다." 는 구절이 보인다. 오래된 양식의 담뱃대는 담배 담는 통이 작고 설대도 짧았다. 그러나 18세기 풍속도에 나오는 한국인의 담뱃대는 이미 장죽이 유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유득공의 <경도잡지>에 의하면 조관들이 담배합과 담뱃대를 말 뒤에 달고 다닌다고 하면서‚ 비천한 사람들은 존귀한 분 앞에서 감히 담배를 피우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 서유구는 <금화경독기>에서 "전국에 걸쳐 다투어 사치하는 자들이 백통이나 오동으로 담뱃대를 만들 뿐더러 금은으로 치장함으로써 쓸데없는 데에 막대한 비용을 허비한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조선 말기의 담뱃대에 대한 사치풍조는 대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전통공예로서의 담뱃대가 백통을 기본으로 하여 오동과 금은으로 시문하고 있는 것과도 일치한다. 종래 담뱃대의 재료는 담배통의 경우에는 구리‚ 놋쇠‚ 백통을 쓰고 도자기로 된 것도 더러 썼으며 물부리에 있어서는 쇠뿔‚ 수정‚ 호박‚ 옥 등이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또 설대는 자죽‚ 반죽을 즐겨 썼으며 특히 장죽에 있어서는 각죽 및 낙죽으로 치장하는 기법이 성행하였다. 서구식의 파이프는 19세기 무렵 함경도 지방에 보급되었는데‚ 이를 목연통이라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