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접시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란 백색의 태토 위에 투명유를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대체로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태토가 무른 연질(軟質)의 자기였고‚ 조선시대 들어 고려백자의 전통에 중국 명 백자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단단한 경질(硬質)의 백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경질 백자가 조선 초기 언제부터 제작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그러나 문헌기록을 통해 대략 15세기 초에는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자는 어떤 안료로 그릇 표면에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등으로 나누어진다. 순백자는 그릇 표면에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은 순도 높은 순백의 태토와 잡물이 섞이지 않는 순수한 석회유를 씌워 구운 백자로‚ 조각 표현에 따라 무늬가 전혀 없는 소문백자(素文白瓷)‚ 양각백자(陽刻白瓷)‚ 음각백자(陰刻白瓷)‚ 투각백자(透刻白瓷)‚ 상형백자(象形白瓷)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순백자는 15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이래‚ 조선시대 전 기간을 걸쳐 꾸준히 만들어졌다. 상감백자는 백자의 표면에 음각으로 무늬를 파고 여기에 자토(?土)를 넣어 구워서 검은색의 무늬를 나타낸 백자로‚ 15세기동안 만들어지다가 15세기 말 청화백자가 본격 생산됨에 따라 거의 사라지게 된다. 청화백자는 백자에 무늬를 나타낼 때 코발트 안료인 회청(回靑)을 써서 그림을 그린 백자로‚ 15세기 말 본격 생산된다. 그러나 17세기 임란과 호란으로 인해 정치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서‚ 청화안료의 수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그 생산은 크게 저조하게 된다. 18세기에는 정치 경제적으로 안정됨에 따라 또 청화안료의 국내 생산과 서양으로부터 청화안료의 수입이 용이해지면서 다시 제작 유행하게 되었다. 철화백자는 철사로 무늬를 그려 다갈색으로 발색한 백자로‚ 17세기 청화백자를 대신하여 절정기를 이루었다. 진사백자는 붉은 색으로 발색하는 산화동으로 그림을 그린 백자로‚ 다른 백자에 비해 소량으로 제작되었지만‚ 18세기 들어 그 제작이 늘어났다. 조선시대에는 자기를 구울 때‚ 왕실용 고급자기인 경우 표면에 여러 가지 불순물이 부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갑발이라는 통에 넣어 구웠고‚ 그 외 일반 국가관국풍 접시가 제작되었으며‚ 각형 접시도 등장하였다. 본 유물은 내면이 넓고‚ 구연부가 넓게 외반된 접시로‚ 내면 바닥에 원문이 음각되었으며‚ 4개의 내화토 받침 흔적이 있어‚ 포개어 구웠음을 알 수 있다. 유조는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이다. 청이 소용하는 그릇이나 민수용은 포개어 구웠다. 그런데 구울때 그냥 굽게 되면‚ 자기에 씌운 유약과 태토가 바닥에 녹아 붙어 파손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굽의 접지면(接地面)에 태토받침‚ 내화토받침‚ 모래받침 등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굽 밑에는 그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며‚ 포개어 구운 사발이나 대접 같은 경우는 그릇의 안바닥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기도 한다. 본 유물은 백자접시로 시기는 조선시대이다. 순백자이며‚ 무늬가 전혀 없는 소문백자이다. 접시는 대체로 17세기까지는 구연부에서 밖으로 넓게 벌어진 전접시가 유행하였고‚ 18세기에는 이전까지 20cm대에 머물었던 접시의 지름이 30cm대로 넓어졌다. 19세기에는 굽 높이가 높아지고 내면이 오목하게 파인 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