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회유돗자리무늬토기항아리

추천0 조회수 12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회유돗자리무늬토기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한국의 도자기라고 하면 토기‚ 도기‚ 자기를 모두 가리키는 것이지만 대체로 토기는 그릇의 표면에 유리질막이 없는 상태이고 자기는 반짝이는 유리질막이 씌워진‚ 즉 유약을 바른 것을 지칭한다. 토기는 통일신라시대까지 중요한 그릇이었고 자기는 고려시대 이후에 크게 발전한다. 유약에는 섭씨 600-800도 정도의 저화도(低火度)에서 유리질화하는 연유(鉛釉)계통과 섭씨 1100도 이상에서 녹는 장석유(長石釉) 계통이 있다. 연유의 사용은 고구려 토기에서 발견되며 7세기경의 백제와 신라토기에도 나타나는데 오리엔트 지역의 연유 시유 방법이 중국을 통해 우리 나라에 알려진 것이다. 장석유의 사용은 고려시대 자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나는데‚ 구체적인 사용 시기 문제는 바로 청자의 발생과도 직결되는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절대편년 자료와 타당성 있는 논고의 뒷받침이 없어 청자의 발생시기의 정립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한편 1978년 월성군(月城郡) 현곡면(見谷面) 금장 3리(金丈三里)에서 회유(灰釉)도편이 출토되는 가마터가 발견된 점으로 보아 7세기경에는 연유 사용뿐만 아니라 회유도 사용하고 있었던 듯하다. 회유란 우리말로 잿물이라고 하는데 소나무‚ 싸리나무‚ 그리고 볏짚과 같은 화분과(禾本科) 식물의 재를 물에 타면 재에는 규산분‚ 산화칼슘‚ 나트륨‚ 알루미늄 등이 있으므로 이것이 곧 초보적인 유약이 된다. 그런데 화본과 식물의 회유는 높은 온도를 받으면 유리질로 변하기는 하나 뭉쳐 흘러내려 표면에 골고루 유리막이 입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여기에다 장석이나 순수 규산(硅酸)인 석역(石英)을 갈아넣으면 골고루 곱게 유약이 씌워지니‚ 이것이 소위 장석유이다. 이와 같은 장석유의 발명은 중국의 육조(六朝시대이며 본격적인 사용은 송대(宋代)이후라고 생각된다. 고려시대에는 청자‚ 백자와 흑색 유약을 씌운 흑자(黑磁)가 제작하게 되었다. 경질‚ 연질‚ 회유도기의 전통과 새로운 청자‚ 백자‚ 흑자의 등장은 우리의 도자문화 가 다양함 속에서 질적 발전을 이루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의 회유토기항아리로써 회유를 시유(施釉)하여 유색은 진한 쥐색에 가깝고 금속기와 같은 느낌을 준다. 구연부(口緣部)와 하단부 등 기면(器面) 대부분의 유약이 거의 떨어져 나갔다. 마치 옹기와 같은 느낌을 준다. 기형을 살펴보면 구연이 도톰하고 목이 거의 없다. 동체(胴體)의 표현에 있어서는 청자에서 많이 보이는 S자형의 곡선은 보이지 않고 어깨는 경사를 크게 이루면서 아래로 가면서 확장되고 동체의 중앙 바로 윗 부분에서 정점을 이루다가 다시 굽을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줄어든다. 문양에 있어서는 주걱 같은 데에 격자로 줄을 감고 이것으로 어깨부분을 때려 돗자리무늬를 나타내었다. 동체 중앙에는 2중 3組의 선을 둘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