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광구병

추천0 조회수 1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광구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란 철분이 약간 섞인 청자 태토에 2-3% 정도의 철분이 함유된 투명유약을 발라 구워낸 자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청자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늦어도 10세기 후반에는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청자는 초기에는 기술상 여러 가지 미숙함을 보이지만‚ 이후 우리나라의 청자 기술은 급속도로 성장하여 12세기 무렵에는 강진 용운리 가마‚ 고창 용계리 가마‚ 강진 사당리 가마‚ 부안 유천리 가마 등에서 소위 비색청자(翡色靑磁)라고 불리는 중국을 능가하는 뛰어난 순청자가 만들어지게 된다. 순청자는 문양 장식이 없는 소문청자(素文靑磁)와 성형한 후 표면에 음각 양각으로 문양을 새기거나 투각한 청자‚ 그리고 동식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象形靑磁)를 가리키는 말이다. 문양을 넣을 때 청자의 태토색인 회청색 외에 다른 색을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청자색이라는 의미에서 순청자라고 부른다. 12세기는 비색이 가장 큰 특징인 순청자의 전성기였다. 문양은 연판문(蓮瓣文)‚ 국화당초문(菊花唐草文)‚ 국화‚ 모란‚ 연꽃‚ 대나무‚ 매화 등 식물과 앵무새‚ 원앙‚ 학‚ 봉황‚ 나비‚ 벌‚ 물고기 등 동물이 중심문양으로 등장하여 소재가 다양해지는 한편‚ 뇌문대(雷文帶)‚ 당초문대(唐草文帶)‚ 여의두문대(?意頭文帶)‚ 연판문대(蓮瓣文帶) 등을 주변 문양으로 장식하면서 구성도 복잡해진다. 한편‚ 원숭이‚ 오리 등을 상형한 청자도 만들어진다. 또한 11-12세기에는 철화(鐵畵) 철채(鐵彩)청자도 만들어지는데‚ 철화청자는 산화8-10%의 산화철이 함유된 흑토를 묽게 개어 태토 위에 붓으로 문양을 그리고 청자유를 씌운 것이고‚ 철채청자는 청자 태토로 만든 그릇 전면에 흑토를 바르고 청자유를 씌운 것으로 마치 흑유를 입힌 흑자(黑磁)처럼 보인다. 12세기 중반이 되면‚ 새로이 상감청자가 발생되어 12세기 말에서 13세기에 절정기를 이룬다. 상감청자는 문양을 음각한 후 그 틈에 흑토와 백토를 메워 넣는 상감기법으로 시문한 청자이다. 상감기법은 흑토와 백토 및 청자토 등 자기 성질이 다른 재료를 조화시켜야 하는 수준 높은 기술 조건을 바탕으로‚ 치밀한 조작 기술과 미적 감성까지 갖추어야만 완성될 수 있는 고품위의 기법으로‚ 이를 통해 당시 고려청자의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알 수 있다. 문양은 이전 시기의 문양 외에 운학문(雲鶴紋)‚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 유행한다. 13세기에는 청자에 금채(金彩)를 가한 화금청자(畵金靑瓷)‚ 진사(辰砂)를 시유한 진사청자(辰砂靑磁) 등 기교적인 청자도 만들어지며 발전된다. 그러나 14세기 들어‚ 원(元)과의 는 견해도 있다. 술병으로 널리 애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부장용으로도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면에는 연판문이 양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유색은 담록색을 띠고 있다. 몸통부분과 굽 부분의 유약이 부식되거나 탈락된 듯 보인다. 오랜 전쟁으로 인한 경제위기‚ 원의 간섭‚ 권문세족의 대두 등 어지러운 국가 상황아래 고려청자도 쇠퇴하게 된다. 기형은 무디고 둔중해지고‚ 빛깔은 탁해지며‚ 무늬는 소략화되거나 조잡해지고‚ 유조(釉調)와 작풍(作風)도 점차 저하된다. 본 유물은 청자양각연판문광구병으로‚ 시기는 고려시대 12세기로 추정된다. 굽이 있고‚ 저부에서 어깨까지 약간 둥글게 올라가다가 어깨에서 각을 이루며 꺾여 목까지 올라간다. 목 윗부분에서 다시 각을 이루며 꺾여 구연부로 올라가며‚ 구연부가 크고 도톰하고 그 끝이 약간 밖으로 말려 있다. 이러한 광구병은 삼국시대 토기에서부터 고려‚ 조선시대까지 계속 만들어진 기형이다. 입큰병이라고도 불리며‚ 중국 육조시대 동기(銅器)에 그 조형이 있다고 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