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녹청자병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녹청자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의 발생에 관하여는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발생 시기에 관하여 확실히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10세기 중‚ 후반 경에는 제작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무리가 없을 듯 하다. 초기 청자를 논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는 것이 해무리굽 계통의 청자와 조질계의 청자이다. 조질청자는 태토가 거칠고 유약 표면이 안정되지 못하여 우툴두툴하며 표면색은 고운 청자색이 아니라 녹갈색(綠褐色) 계통이다. 이러한 조질청자에 대하여는 종전까지 해무리굽 청자보다 선행하는 것이라 생각되어 왔으나 현재는 조질청자가 해무리굽 청자보다 오히려 뒤에 제작되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조질청자는 해무리굽 청자가 만들어진 후에 지방의 수요에 대한 공급용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하면 양질의 자화(磁化)된 해무리굽 청자는 가격이 비싸서 경주‚ 개경 등지의 상류 계층의 지방 호족들이 쑬 수 있는 것이었으며 조질청자는 일반 시민과 지방민이 사용하였을 것이다. 조질청자를 주로 생산한 가마는 인천시 경서동과 전남 해남군 산이면 일대에 있다. 전남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영광군 염산면 오동리‚ 충남 보령시 천북면 사호리‚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내태리‚ 부산 덕포리 등에도 요지가 있다. 해남 산이면 진산리와 내송리 요지의 조질청자 가운데에서는 양질인 청자를 생산한 가마도 있고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까지 지속되면서 철화‚ 퇴화 등 다양한 청자까지를 번조하였다. 또한 음각(陰刻)‚ 양각(陽刻)‚ 특수음양가연판문(特殊陰陽刻蓮瓣文)과 상감(象嵌) 등 여러 기법의 문양이 있다. 문양이 등장한다는 자체가 이미 순수한 무문청자보다 뒤늦다는 증거가 된다. 이 문양들은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의 일부 가마에서 출토되는 문양과 같은 것으로써 즉 양질의 청자보다 조금 늦은 초기 청자의 형식으로써 민간 수요용으로 발생‚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질청자는 중국에서도 마찬가지 양상이 나타나는데 절강성 월주요에서 양질의 청자가 만들어지고 있었던 반면에 절강성의 남쪽과 복건성 일부와 광동성에서는 조질의 청자가마가 있어 보다 많은 지방 수요에 응하고 있었다. 조질청자의 연대는 대략 10세기 후반경부터 11세기 전반경까지 많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점차 양질 청자에 흡수되었다. 기형은 대접‚ 접시류가 대부분이고 방구리‚ 이형매병(異形梅甁)‚ 치마병‚ 광구장경병(廣口長頸甁)‚ 항아리 등이 약간 있을 뿐이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녹청자병이다. 유색(釉色)은 환원(還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갈색(褐色)을 보인다. 기면(器面)에 얼룩덜룩하게 일부러 무늬를 넣은 것처럼 보인다. 마치 귤껍질과 같은 모습이다. 목 안쪽까지 시유(施釉)되었다. 상단부가 완전히 파손된 것을 보존처리하였다. 그러나 구연(口緣)은 완전히 파손된 채로 남았다. 기벽(器壁)이 매우 얇은 편이다. 기형을 보면 구연은 잘려나가 그 형태를 알 수 없으며 남아있는 동체(胴體)부분을 보면 어깨는 좁고 축 쳐졌으며 동체 중앙에 중심이 있고 하부로 가면서 조금씩 좁아졌다. 바닥은 평저(平底)를 이룬다. 문양이 전혀 시문(施文)되지 않은 소문청자(素文靑磁)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