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산수문또아리연적

추천0 조회수 98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산수문또아리연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는 그릇 표면에 문양을 나타낸 장식의장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 등으로 구분된다. 이밖에 철채(鐵彩)‚ 진사채(辰砂彩)‚ 청화채(靑畵彩)‚ 진사청화(辰砂靑畵) 등의 채색 기법으로 장식된 백자들도 있다. 본 유물과 같이 푸른색 코발트 안료로 그림을 그린 것을 청화백자(靑畵白磁-나라나 개인에 따라 靑華‚ 靑花라 하기도 하며 영어로는 blue+white porcelain)라 부른다. 청화백자는 14세기 전반 무렵 중국의 경덕진(景德鎭)가마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로 퍼져 나간 이 고급 백자는 조선 도자사에서도 특별한 성취를 이룬 분야로 평가받고 있으며 15세기 중엽에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백토 면 위에 코발트라는 광물성 안료로 그림을 그린 뒤 투명한 백자유를 씌우고 1300도 가량의 높은 온도에서 구워 만들었다. 새하얀 지면 위에 파란색의 그림이 그려져 청순한 기품과 고상한 정취를 자아내는 청화백자는 `도자기의 꽃`이라 칭송 받으며 지금도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청화백자는 왕실용이나 사대부 집안에서 사용되어 서민들은 감히 넘볼 수 없는 고가품이었다. 때문에 그릇의 모양이나 그려진 문양이 지체에 어울리게 일정한 격조를 보이며 상류 사회의 미의식과 조선시대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이 잘 반영되어 있는 점도 특기 할 만하다. 전기 청화 문양의 변화를 보면 처음에는 중국의 영향으로 복잡한 구성을 보이다가 점차 국풍화(國風化)되면서 공간이 많아지고 화경(畵境)이 시원스럽게 변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100여 년 동안은 나라 사정이 어려워 생산이 거의 중단되다가 18세기에 들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특히 18세기에는 매우 조선적인 특징들이 다방면에서 구현되는데‚ 청화백자도 이때 것이 조선 특유의 격조미를 보인다. 18세기 후반부터는 청화백자의 제작량이 많아지면서 중국 청나라 문물의 새로운 영향과 시대 풍조의 변화가 맞물려 청화 문양에 윤기와 풍성함이 감돈다. 19세기에는 왕권의 약화에 따른 현상인지 청화백자의 생산이 크게 확대되어 청화백자의 전성기를 맞지만 조선 특유의 격조는 사라지고 장식성이 강한 민예적인 문양이 유행한다. 본 유물은 둥근 몸체에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또아리형 혹은 도너츠형이라 불리는 연적이다. 유색(釉色)은 푸르며 여기저기 유약이 벗겨진 흔적들이 보이며 때가 많이 끼었다. 그 기형을 보면 또아리형이고 윗면 한쪽에 구멍을 뚫어 물을 붓고 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옆면에는 금이 간 흔적이 보인다. 문양은 멀리 산수를 배치하고 근경(近境)에는 양쪽으로 암벽과 두 척의 나룻배를 표현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원경(遠鏡)의 높은 산은 청화 안료의 색을 달리하면서 이 색을 통해 높이를 느끼게 하였는데 이 산 위로 물구멍을 뚫어 마치 산 위에 떠오르는 둥근 보름달처럼 보인다. 그리고 근경의 기암괴석 역시 양옆에 자리를 잡고 있어 확실하게 공감각을 느끼게 한다. 역시 안료의 색을 달리하여 표현함으로써 바위의 양감이나 부피를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산수문은 19세기의 유물에 많이 나타나는 문양으로써 소박하고 정감 넘치는 민화와 상통하는 화풍과 필치로 생략과 과장이 심한 삼산봉(三山峰)의 산수문이 자주 그려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