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질그릇양각주전자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질그릇양각주전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는 백자로 대표되는 시대이다. 백자(白磁)란 백토(白土)로 그릇의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장식을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를 말한다. 백자의 색깔은 그릇에 입혀진 유약의 색으로 좌우된다. 유색(釉色)은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눈같이 흰 설백색(雪白色)‚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은 청백색(靑白色)‚ 푸른기가 짙은 청백색‚ 회백색(灰白色) 등으로 제작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색조의 차가 있다. 중국에서는 백자가 육조시대(六朝時代: 219-580년)말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청자와 함께 제작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전라북도 부안군 일대에서 수집된 세련된 백자 파편들과 경기도 용인군 이동면 서리에서 발굴된 우수한 백자 파편들이 증명해 주고 있다. 조선시대의 백자는 이러한 고려 연질백자(軟質白磁)의 전통을 계승한 것과 중국 원(元)과 명(明)나라 초기의 새로운 백자 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것 두 종류로 각기 그 유태가 다르다. 고려백자계통은 태토가 약간 무른 편으로 연질백자라 하여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 유약이 시유되었으며 표면에는 미세한 빙렬(氷裂)이 그물처럼 나 있다. 중국 백자 계통의 경질 백자는 눈같이 희고 단단한 태토(胎土)에 투명한 백자 유약이 시유되었다. 제작시기는 연질 백자의 경우 15세기 동안에만 제작된 반면 경질 백자는 조선시대 전기간에 걸쳐 번조(燔造: 구워서 만들어 냄)되었다. 백자는 그릇 표면에 문양을 나타낸 장식의장에 따라 순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진사백자 등으로 구분된다. 이밖에 철채‚ 진사채‚ 청화채‚ 진사 청화 등의 채색 기법으로 장식된 백자들도 있다. 여기에서 순백자란 색채 장식이 없는 순수한 백색의 자기를 말하는 것으로써 조선 백자의 대부분이 순백자로 제작되었다. 장식이 전혀 없는 것(素文)이 일반적이나 음각(陰刻)‚ 양각(陽刻)‚ 투각(透刻) 등의 문양이 이 장식된 것도 일부 만들어졌다. 조선시대 가마터를 조사해 보면 순백자 종류가 95% 이상을 차지하며 그릇의 종류는 대접‚ 접시류가 대부분이며 병이나 항아리는 드문 편이다. 순백자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온전하고 백자색이 순정한 것을 좋은 백자로 치는데 특히 조선 초기의 백자와 18세기 전반의 소위 금사리계(金沙里系)가마에서 생산된 백자에 우수한 작품이 많이 보인다. 본 유물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백자 주전자이다. 유색(釉色)은 회백색(灰白色)을 보인다. 전면에 고루 시유(施釉)되었다. 국내에서 일본 제품을 모방하여 제작한 것인지 아니면 일본 제품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기형을 살펴보면 주구(注口)가 두 개가 있는데 뚜껑이 있는 참외모양의 주구는 물이나 술을 담을 때 사용하는 것이고 동체(胴體)에 붙어있는 작은 주구는 따를 때 사용하던 것이다. 동체는 이등변삼각형의 모양을 보인다. 손잡이는 어깨에서부터 동체 하단까지 이어졌다. 손잡이와 굽 부분이 일부 파손되었다. 문양은 정확치는 않으나 도드라진 양각으로써 꿈틀대는 용문(龍文)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체 가득 전면에 시문(施文)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