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매병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매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회흑색 경질토기로 아가리는 각을 두며 세워져 있고 어깨가 매우 높으며‚ 몸체는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어깨에서 종으로 다섯 군데의 침선을 얕게 파서 참외모양의 몸체를 나타내었다. 몸통에는 타날기법으로 기벽을 단단히 할 때 생긴 격자무늬가 전면에 나타나 있다. 몸통의 상단 기면 일부에 흑갈색의 회유가 씌워져 있다. 고려 초기(918-1100)의 토기는 크게 10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영암 구림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灰靑色)‚ 회흑색(灰黑色) 경질도기‚ 연질도기들과 11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강진 용운리 가마터‚ 삼흥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 경질도기들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고려가 성립되는 10세기 전반은 동북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큰 변혁의 시기이다. 당(唐)이 망하고 오대(五代)가‚ 거란이 발해를 멸하고 성장하며‚ 통일신라‚ 후백제와 함께 후삼국의 하나로 고려가 세워지는 새로운 시기이다. 이 시기의 가마 구조는 경사진 구릉의 경사면에 굴을 파 들어가서 요상(窯床)이 지하가 되는 단실가마로 아랫쪽이 넓고 윗쪽이 좁아진 소위 독사머리 모양이다. 경사도는 앞쪽아 10도 내외를 유지하는 평면이다가 급격히 20-25도 경사가 급해지고 좁아져 요상의 끝 부분이 굴뚝으로 연장되어 올라가는 구조이며 백제시대 질그릇 가마 구조의 전통을 이은 것으로 영암 구림리 가마의 예가 확인된 바 있다. 고려 초기의 11세기 도기들은 10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고려청자의 등장으로 기형과 수법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비교적 큰 기형의 항아리‚ 편호 등은 도기로 제작되고‚ 작은 기형의 접시‚ 완‚ 잔‚ 합‚ 병 등은 청자로 제작되었다. 이 시기의 도기들로는 11세기를 대표하는 소위 해무리굽 청자완이 제작된 청자 가마터 주변에서 발견되는 도기 가마터에서 출토되는 질그릇 조각들을 들 수 있다.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일대와 칠량면 삼흥리‚ 전북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일대의 도기 가마터들로 청자 가마터 5-6개소와 함께 도기 가마터 1개소도 함께 발견되고 있다. 출토된 도편들은 회흑색‚ 회청색의 경질도기들과 회백색의 연질도기들로 큰 입병‚ 큰입단지‚ 납작단지‚ 돌대선이 있는 큰항아리‚ 작은 병의 경질도기들과 회백색의 대발(?鉢)‚ 항아리 등의 연질도기들이다. 기벽은 그 전보다 얇아지고‚ 특히 병이나 호의 구연(口緣)이 작아지고 넓어진 형태로 날카로우며‚ 굽바닥은 편평한 모습을 이루고 있다. 무늬는 항아리의 어깨부분에 3-5줄의 파선문(波線文)이 음각이나 돌대로 시문(施文)되었고‚ 몸체에는 타날기법으로 새겨진 돗자리무늬‚ 격자무늬가 새겨져 있다. 현존하는 질그릇의 납작단지‚ 마도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문양을 보면 어깨에서 세로로 다섯 군데의 침선을 얕게 파서 참외모양의 몸체를 나타냈다. 몸통에는 타날기법으로 기벽을 단단히 할 때 생긴 격자무늬가 전면에 나타났다. 몸통의 상단 기면 일부에 흑갈색의 회유(灰釉)가 씌워져 있다. 아마도 유약을 시유(施釉)한 것이라기 보다는 가마 안에서 구워질 때 자연유가 자연스럽게 시유된 것이라 생각된다. 큰입병‚ 작은병‚ 긴 몸 항아리‚ 긴목병 등은 이 시기의 것이며‚ 기벽이 얇아지고 예리해진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창 용계리 청자 가마터와 용인 서리 백자 가마터에서 함께 출토된 몸이 긴 항아리와 대발‚ 납작병 등은 이를 뒷받침해준다 하겠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회흑색(灰黑色)의 경질도기이다. 매우 단단해 보인다. 구연(口緣) 각을 두며 세워져 있고 어깨가 매우 높으며 몸체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아래로 가면서 점점 줄어들다가 하부에서 다시 굽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진다. 매우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구연의 형태나 떡 벌어진 어깨‚ 몸체의 부드러운 곡선 등 그 형태가 13세기의 상감청자운학문매병(象嵌靑磁雲鶴文梅甁)과 매우 유사하다. 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