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조선국전도

추천0 조회수 10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조선국전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지도명을 대조선국전도(?朝鮮國全圖)라고 표기한 것과 국경에 청국지계(?國之界)라고 표기한 것에서 대한제국때 만들어 진것으로 추정된다. 지도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옛부터 그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지도제작은 지형과 지물을 그대로 모두 표기할 수 없으므로 간략한 기호·부호·그림 등으로 표시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도 지도가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히는 알 수 없으며‚ 고려시대 이후의 지도가 알려지고 있을 뿐이다. 고려시대 에는 풍수지리사상이 유행하여 지도제작에도 영향을 주어 나흥유(羅興儒)의 고려지도(高麗 地圖)외에 몇 점의 지도가 제작되었던 것으로 믿어진다. 조선시대에는 용도와 대상에 따라 세밀한 지도와 약도가 그려졌는데 도리식수(道理?數)·산천(山川)·역도명(驛道名) 등을 나타낸 여지승람식지도가 주로 제작·사용되었다. 이때의 지도에는 알아보기 쉽도록 채색을 하거나 地理志의 附圖라는 생각에서 설명 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도는 정척(鄭陟)과 양성지(梁誠之)의 동국지도(東國地圖)‚ 백리척(百里尺)을 사용하여 만든 정상기(鄭常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 등의 전국도를 들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전국을 답사하면서 지도제작에 일생을 바친 김정호(金正?:1804∼1866)는 청구도(靑丘圖)와 대동여지도(?東輿地圖) 등을 제작하여 현존하는 전국도 가운데 가장 크고 세밀한 지도를 남겼다. 조선시대에는 정치와 군사상의 필요에 의하여 지도가 제작되었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장하였으며‚ 군사기밀의 누설방지를 위해 국내 및 국외로 알려 지는 것을 금지하였다. 또 조선시대에는 전국도(全國圖)와 세계지도(世界地圖) 외에도 산천도(山川圖)·군사분계도(軍事分界圖)·수리도(水利圖)·교통도(交通圖) 등의 특수지도가 제작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의 지도 제작 기법들을 보면 초기에는 회화식‚ 동양화식을 병행하다가 후기로 갈수록 백리척식‚ 방안도식‚ 경위도식으로 지도 제작 기술이 발달하였다. 회화식은 과학적인 방법을 가미하지 않은 지도로 조선 시대 지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보통 책의 형태이다. 동양화식은 지도라기보다는 한 폭의 훌륭한 그림같은 지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축이나 병풍의 형태이다. 백리척식 지도는 땅의 넓고 좁음에 따라 지도를 제작하는 과학적 방법이 가미된 지도이다. (이전에는 지도가 그려질 지면의 넓이에 따라 지도를 그렸다.) 방안도식은 방안을 그리고 그 안에 지형의 광활을 맞추어 과학적인 축소법을 이용한 제작 기법의 지도이다. 경위도식은 경위도를 참고하여 (현대적인 경위도와는 조금 차이가 있으나) 이전보다 훨씬 발달된 형태의 지도이다. <대동여지도>도 이에 속한다. 본 유물은 `대조선국전도(?朝鮮國全圖)`이다. 지도명을 `대조선국전도`라고 표기한 것과 국경에 청국지계(?國之界)라고 표기한 것으로 볼 때 대한제국기에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지도의 방향이 거꾸로인 것을 보면 목판 등을 통해 인쇄를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도의 내용은 각 지역마다의 산맥과 강을 표시하고 지역의 이름을 꼼꼼히 적어 두었다. 울릉도와 독도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바다는 물결 표시를 하여 표현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