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중원권문병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중원권문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는 태토나 소성이 신라토기와 같으나 기형이나 문양에 많은 변화가 있다. 즉 기대(器臺)나 이형토기(異形土器)가 없어지고‚ 굽다리접시‚ 목긴항아리의 받침이 짧아지며 뚜껑 꼭지가 보주형으로 변한다. 또 입넓은 목긴항아리‚ 납작바닥목긴병 등이 나타나며 문양에서도 종래의 기하학적 요소에서 화려한 인화문으로 변화된다. 이 시기는 불교의 성행으로 화장용뼈단지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녹유(綠釉)를 시유한 토기가 출현한다. 고신라토기에서 통일신라토기로의 이행은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통일신라기는 고신라 고유의 문화와 외래의 당나라 문물이 합쳐지면서 고유한 부분과 새로운 부분이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신라토기만의 특징이 나타난다. 통일신라토기의 특징은 다리에 아주 작은 구멍을 가진 뚜껑없는굽다리접시의 등장‚ 인화문 토기의 성행‚ 그리고 유약의 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고신라 후기 토기에서 보였던 두껑받이가 있는 뚜껑굽다리접시는 아직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통일기 토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른 예는 경주 충효동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들이며‚ 그보다 조금 늦은 예는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토기들이다. 안압지는 8∼9세기에 걸쳐 실제 사용되었던 일상용토기의 자료를 많이 제공하고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서는 주로 인화문이 날인된 주발형토기와 화병형의 토기가 많이 나왔고‚ 벼루나 장군‚ 약탕관모양의 그릇 등 다양한 모양의 토기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한편 울릉도 천부동 고분에서는 목이 긴 병과 몸의 한 쪽이 납작해진 특이한 모양의 토기들이 나왔는데‚ 이들은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인 9∼10세기의 토기들로 여겨진다. 고신라토기는 4세기 무렵부터 통일이전까지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그 성격을 여러 번 바꾸면서 후대에 이르렀다. 우리가 알고 있는 좁은 의미에서의 신라토기의 전통은 실제로는 통일기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그 명맥을 잃고 있다. 그러나 그 전통은 통일신라기의 일상용토기를 통하여 고려시대로 넘어 갔고‚ 또 형태와 질은 바뀌었지만 조선시대의 옹기에 까지 이어져 내려왔다고 할 수 있다. 원문은 동그라미로 이루어진 모든 기하학문‚ 즉 동심원‚ 타원형‚ 반원 등의 무늬이다. 이러한 문양요소가 출현하는 시기는 신석기시대부터라 할 수 있으나 정작 기물(器物)의 표면 의장문양으로 나타나는 것은 청동기시대 이후부터라 할 수 있다. 원문이 본격적으로 시문되는 것은 삼국시대 이후라 하겠는데‚ 신라 토기에서는 고배 등의 뚜껑에 컴퍼스로 돌려서 새긴 점원문(고리점무늬)이 일정한 크기로 새겨졌다. 원문이 가장 많이 쓰여졌던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라 할 돌아가며‚ 침선 밑으로는 점열문이 동최대경인 동중위에 있는 원권문까지 이어져 마치 동체 상반부를 주름무늬 병과 비슷한 효과를 내고 있다. 저부에는 바깥으로 벌어지는 낮은 굽이 달려 있다. 수 있는데‚ 당시에 유행을 보았던 골호(骨壺)의 표면에는 마치 붓두껍으로 눌러 새겨놓은 것 같은 원문을 이용한 영락문 또는 고리점무늬가 성행되어서 그러한 형식은 다소 서역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또 원문을 이용하여 8∼12엽의 花文을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본 유물은 구연부가 파손된 넓은 방추형의 동체에 긴 목과 벌어진 구연부를 가진 병으로 어깨부분에 많은 인화문이 새겨져 있다. 경부 중간 이하로 3개의 침선과 원권문이 시문되어 있고‚ 경부와 동체와의 경계에 돌기된 1조의 선이 놓여 경부와 동체에 각각 시문된 원권문을 나누고 있다. 동체부분에는 원권문 밑으로 가는 침선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