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도

추천0 조회수 131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추사파산수화와 더불어 조선 말기의 회화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산 김수철(北山 金秀哲: 1800이후-1862이후)과 학산 김창수를 비롯한 일부 화가들의 이색적인 산수화풍이다. 개성이 풍부하고 화풍이 전에 없이 참신한 경향을 띤 이색산수화풍은 조선 후기부터 그 태동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 활약하였던 지우재 정수영과 학산 윤제홍의 작품들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생원시에 수석으로 급제하였고 문과에도 올라 사간원 대사간의 벼슬까지 지낸 바 있는 전형적인 사대부 문인화가 윤제홍의 「송하관수도(松下觀水圖)」를 보면‚ 그 특이한 소나무‚ 인물 묘사‚ 산의 형태‚ 수채화를 연상시키는 설채법(設彩法)등이 김수철의 작품과 김창수의 작품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북산 김수철은 생몰년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 말기에 활약했던 것임은 틀림없다. 고람 전기(古藍 田琦: 1825-1854)가 북산의 그림에 화제를 쓴 일이 있으며‚ 또 같은 소재와 구도를 지닌 그림도 그렸다. 이를 보면 북산 김수철은 김정희‚ 조희룡‚ 허련‚ 전기 등과 동시대의 인물로 볼 수 있는데‚ 북산의 작품 중에는 己酉年(1849)과 庚戌年(1850)의 간지가 들어있는 것이 있어 대략 1850년대에 활동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산수와 화훼를 모두 잘 했는데‚ `대담한 생략`과 `청신한 설채`를 특징으로 한다. 김수철의 작품 중에서 「계산적적도」는 우봉 조희룡의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와 고람 전기의 「매화서옥도」와 유관한 것이나‚ 그의 대부분의 다른 작품들은 윤제홍의 화풍을 발전시킨 것임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윤제홍의 작품들 보다 좀더 정리되고 다듬어진 느낌을 준다. 또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근경에 나즈막한 언덕과 몇 그루의 나무`가 서있고 `원경에 주산`이 놓여 있으며 `중경에는 물이나 안개`로 채워져 있어 대체적인 구도는 원말사대가 가운데 운림 예찬과 유관함을 보여준다. 다만 북산 김수철은 예찬의 경우처럼 절대준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단순하고 곡선적인 형태를 즐겨 그리며 비교적 밝은 담채를 사용하고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운림 예찬 이후의 남종문인화법과의 관계를 있게 하고 있을 뿐이다. 김수철의 작품 중에는 또한 「송계한담도」처럼 소나무의 자태나 단순화된 인물의 모습 그리고 수채화적인 설채법 등에서 윤재홍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신윤복과의 관계를 시사하는 것도 있다. 이처럼 북산 김수철의 화풍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학산 김창수의 화풍은 북산 김수철의 화풍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 같다. 김창수의 생애 역시 북산 김수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세하게 밝혀진 것이상단부에서부터 뻗어 나온 소나무 가지가 꺾여서 아래로 향하였다. 필치가 매우 간략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없다. 김창수의 작품상의 경향은 북산 김수철의 화풍과 큰 차이가 없다. 구태여 차이를 찾아본다면 김수철의 작품들이 김창수의 작품보다는 더 세련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김창수의 작품은 북산 김수철의 작품보다는 좀 더 과장되고 경직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색화풍의 태동도 그 근저에는 남종화가 토대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조선 말기에는 비록 한국적인 진경산수화는 쇠퇴하였으나 남종화와 그것을 토대로 하여 발전한 이색산수화에는 큰 업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유물은 북산 김수철의 작품으로써 종이에 수묵을 사용하여 소나무를 그린 것이다. 길이가 126cm에 이르는 작지 않은 작품이다. 작품의 왼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