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승석문항아리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승석문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승석문은 그릇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를 새긴 토기이다. 토기 표면을 두드려서 벽을 단단히 하는 동시에 무늬를 남긴 것인데‚ 대개 그 무늬는 둥근밑의 항아리에만 있고‚ 다른 기형에는 없다. 그리고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물레의 사용흔적은 보이나 발로 차서 돌리는 정식 물레가 사용된 증거는 없고‚ 손으로 돌리는 간단한 돌림판(turntable)을 써서 아가리 등을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형으로는 납작밑의 광구(廣口)항아리‚ 화분형 항아리‚ 둥근밑의 광구항아리‚ 굽다리 대야형의 그릇[爐形土器]‚ 다리에 구멍이 없고 뚜껑이 없는 굽다리접시[高杯]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둥근 바닥에 작은 구멍들을 뚫은 시루는 이 시기에 처음 나타나는 중요한 조리기구이다. 한편‚ 이 토기에는 도질(陶質)이나 석기질과는 다른 와질토기(瓦質土器)라는 형식이 있는데‚ 와질토기 중에 쌍뿔손잡이가 달린 그릇에 한해서 김해토기에서와 같은 삿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종래의 적갈색토기에서 회색토기로‚ 즉 물기가 스며드는 토기에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토기로 한 단계 발전한 토기로서 토기혁명이라고 보는 이도 있으며‚ 이 토기는 결국 신라토기의 기원이 된다. 신라토기는 지역적으로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 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나‚ 신라의 영토범위가 확장되면서 포괄하는 범위가 넓어졌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 사용할 때는 신라시대 경상도 지방에서 만들어진 회색의 광택이 없는 토기를 지칭하기도 한다. 이 토기의 변천에 대해서는 전기·중기·후기·통일신라기 등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는 350∼450년으로 경주 황남동 109호분·110호분·98호분‚ 황오동 14호분 등에서 출토된 토기들이 대표적이며‚ 이 시기는 신라토기의 전형을 이루고 있다. 김해식 적갈색의 창이 없는 굽다리 접시가 소멸하고‚ 창과 덮개가 있는 굽다리접시·파배(把杯)·기대(器臺) 등 신라토기의 중요 형태가 이 시기에 모두 등장한다. 중기는 주로 경주 노서동 일대의 중형(中形) 단독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에는 부장품으로 금관 등의 유물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토기는 별로 매장되지 않았으며‚ 토기 자체도 전기의 강건·소박·고졸함이 없어지면서 후퇴하였다. 전기의 특색이었던 기대·파배 등이 소멸하였고‚ 무늬도 전기의 파상집선문(波狀集線文)에서 밀집직선(密集直線)·문살무늬[格文] ·삼각무늬 등 기하학적 무늬로 바뀌었다. 토기가 용기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떠나 외관에 중점을 두는 의기화(儀器化)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후기는 굽다리접시와 목항아리가 계속 주류를 이루고 있으면서 통일신라 토기로의 과도기적인 양식을 보이고 있다. 본 유물은 회청색 경질 단경호로 소성도가 매우 높으며‚ 기형은 이지러져 있어 형태상 불완전한 모습이다. 경부는 짧게 직립하고 있으며‚ 기형은 경부로부터 벌어져 두드러지지 않은 어깨를 이루며 어깨에서 동중위를 거쳐 하위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동체하부에서 각을 이루며 둥근 저부와 만나고 있어 유물의 측면에서는 사각형을 이루는 듯이 보인다. 동체의 어깨부터 동체하부까지는 승문이 세로방향으로 시문되어 있고 그 위로 비교적 규칙적인 간격으로 횡침선이 돌아가고 있다. 저부는 승문이 교차타날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