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병

추천0 조회수 2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은 우선 색의 아름다움에 있다. 고려청자의 색은 11세기에 들어서면 고려 특유의 비색(翡色)으로 세련되기 시작하여 그 절정기는 12세기 전반이다. 순청자(純靑磁)는 청자 표면에 아무 문양이 없는 것과 음각(陰刻)‚ 양각(陽刻)을 하거나 상형(象形) 등을 지칭하며 상감문양과 같이 청자 태토에 다른 색의 자토(?土)나 백토를 사용하거나 철화(鐵畵)와 동화(銅畵)와 같이 산화철이나 산화동으로 문양을 나타낸 것은 제외된다. 순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 전반기 50년 동안은 고려 도자사에 있어서 절정기였다. 11세기 후반이래 생동감이 넘치면서 유연한 세련을 거듭하여 온 청자와 백자는 유약과 태토 모두 차원을 높여서 한층 정치해졌다. 이것은 비단 도자기뿐만 아니라 이 무렵 모든 고려 공예와 회화 그리고 인쇄술의 발달 등과 견주어 보아도 발전한 것이며 고려자기는 기형과 의장 등 조형 감각과 기술에 분명한 독창적인 고려화의 경향을 짙게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인종 원년(1123)에 송(宋) 휘종이 보낸 사신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은 그의 저서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 도자기의 색이 푸른 것을 고려 사람들은 비색(翡色)이라 부른다. 요사이 고려 도자기의 제작이 절묘해졌는데 그 색이 더욱 아름답다... 사자가 향을 토해 피어오르는 형상의 향로도 역시 아름다운 비색이다. 뚜껑은 쭈그리고 앉은 짐승 모양이고 밑짝은 연꽃 모양인데 많은 그릇 가운데 이것이 가장 뛰어나고 절묘하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송(宋)의 학자인 태평노인(?平老人)은 그의 저서 『수중금(袖中錦)』에서 천하제일을 다루는 속에 송 청자의 비색은 빼 놓고 고려 청자의 비색을 천하제일로 꼽고 있다. 순청자 절정기의 비색은 시유(施釉)된 유약의 두께가 얇고 비취옥과 같은 녹색이 비쳤으며 유약 내에 미세한 기포가 많아 반실투성(半?透?)으로 태토가 은은히 비춰 보인다. 우리 청자의 비색이 산곡(山谷)을 흐르는 맑은 물이나 모시 발이라면 중국 청자는 깊은 웅덩이의 물이거나 비단 발과 같아서 하나는 맑고 은은하면서 투명하고 하나는 진하여 불투명하고 두꺼운 장막을 드리운 것과 같다. 이때 우리 청자는 유약과 함께 기면(器面)의 정리도 매끄럽고 전체적으로 각 부위가 서로 잘 조화되어 균형이 잘 잡히면서 준수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인 12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병이다. 유색(釉色)은 올리브 그린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수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태토가 잡물이 많고 유약의 시유(施釉)도 고르지 않고 얼룩덜룩하다. 전면에 가마에서 떨어진 잔편(殘片)들이 달라붙었다. 구연부(口緣部)가 완전히 파손되었다. 물레에서 성형 후 기면을 정리하지 않아 물레자국이 그대로 남아있다. 기면(器面)에 움푹 파인 흔적도 보이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조질의 제품이라 하겠다. 내화토(耐火土) 받침을 사용하여 번조(燔造)하였다. 기형을 살펴보면 목이 두껍고 어깨가 당당하며 하부로 갈수록 서서히 줄어든다. 굽 부분에서 살짝 퍼진다. 이러한 기형은 역시 12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고 있는 청자철화초화문광구병(靑磁鐵畵草花文廣口甁)과 매우 유사하여 본 유물 또한 광구병의 형태를 보이지 않았을까 추정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