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승석문시문전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승석문시문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전은 벽돌 ·타일과 비슷한 옛날의 동양 건축재로‚ 흙을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워 분묘의 벽 또는 바닥 등의 표면을 장식하였으며‚ 부전(敷塼) ·벽전(壁塼) ·묘전(墓塼)과 같이 용도에 따른 구분이 있다. 부전은 건축물 또는 묘실 바닥에 깔기 위한 것으로 까는 위치에 맞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며 표면과 측면을 문양으로 장식한다. 벽전은 벽을 장식하는데 사용되며‚ 큰 것은 1m에 가까운 것도 있고 때로 문양을 조각하며‚ 조선시대에는 채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묘전은 묘실을 축조할 때 사용하며 전으로 축조한 묘를 전축묘라고 한다. 묘전에도 표면으로 나오는 면에 문양이 양각된다. 탑전은 탑을 축조할 때 사용되며 전으로 축조한 탑을 전탑이라고 한다. 사각형전 ·직사각형전 ·상형전(箱形塼) ·능형전(菱形塼)과 같이 형태에 따른 구분이 있다. 방형전‚ 또는 장방형전은 주로 바닥에 까는 부전으로 사용되며‚ 표면과 측면에는 문양을 조각하거나 유약만 칠하기도 한다. 삼각형전은 방형전을 비스듬히 깔아서 모서리에 생기는 삼각형 공간을 메우는데 사용되며‚ 사다리형 전은 묘실의 아치형을 만들 때 사용된다. 바닥에 까는 전에 비하면 작고 얇다. 구조물의 보강과 표면을 장식하는 데 쓰였던 전은 표면이나 측면에 무늬를 조각하고 여기에 유약(釉藥)을 입혀 아름다운 녹색을 나타내기도 하여‚ 이 무늬의 부분은 미술품으로서 연구 또는 감상의 대상이 되어 왔는데‚ 전의 무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주제(主題)가 달라지고 표현수법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의 전은 신라시대의 다양한 형태와 화려한 문양에 비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신라의 형식을 따른 보상화 또는 연화가 시문된 방형전 또는 간혹 녹유전이 발견되나 초기가 지나면서 대부분 벽전이고‚ 문양은 신라의 문양이 선적이어서 화사한 감을 주는 데 반하여 고려의 문양은 면을 넓게 살려서 조형감각에 차이가 있다. 때로는 문양의 배경에 횡선 또는 파상문을 촘촘히 쳐서 번잡스러운 감이 난다. 본 유물은 전의 두께가 얇고 전의 측면에는 문양이 없지만 위아래 넓은 면에는 승문이 시문된 바닥에 까는 용도의 부전이다. 전의 넓은 너비에 비해 두께는 매우 얇은 편으로 별다른 장식은 보이지 않는다. 회청경질계로 태토에 사립이 섞여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