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백자태극문원형떡살

추천0 조회수 23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태극문원형떡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란 백색의 태토 위에 투명유를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태토가 무른 연질(軟質)의 자기였고‚ 조선시대 들어 고려백자의 전통에 중국 명 백자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단단한 경질(硬質)의 백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경질 백자가 조선 초기 언제부터 제작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그러나 문헌기록을 통해 대략 15세기 초에는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자는 어떤 안료로 그릇 표면에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등으로 나누어진다. 순백자는 그릇 표면에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은 순도 높은 순백의 태토와 잡물이 섞이지 않는 순수한 석회유를 씌워 구운 백자이고‚ 상감백자는 백자의 표면에 음각으로 무늬를 파고 여기에 자토(?土)를 넣어 구워서 검은색의 무늬를 나타낸 백자이다. 청화백자는 백자에 무늬를 나타낼 때 코발트 안료인 회청(回靑)을 써서 그림을 그린 백자이고‚ 철화백자는 철사로 무늬를 그려 다갈색으로 발색한 백자이며‚ 진사백자는 붉은 색으로 발색하는 산화동으로 그림을 그린 백자이다. 본 유물과 같은 떡살은 떡의 문양을 찍는 도구로‚ 떡본 또는 떡손 병형(餠型)이라고도 한다. 떡살은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간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는다. 사용하는 방법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누르면 된다. 이렇게 찍은 떡은 어느 정도 굳으면 그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떡살은 재질에 따라 나무떡살과 자기떡살로 나눌 수 있는데‚ 단단한 소나무 참나무 감나무 박달나무 등으로 만드는 나무떡살은 1자 정도의 긴 나무에 4 6개의 각기 다른 무늬를 새긴 것이다. 사기 백자 오지 같은 것 등으로 만드는 자기떡살은 대개 보통 5 11㎝ 정도의 둥근 도장 모양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잡고 꼭 누르게 되어 있다. 특히 궁중에서 쓰던 사기떡살은 고급스러운 백자로 만든 것이 많다. 떡살의 문양은 주로 부귀(富貴)와 수복(壽福)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길상(吉祥)무늬를 비롯하여 장수와 해로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 봉황 국수무늬‚ 잉어 벌 나비 새 박쥐 등의 동물무늬와 태극무늬‚ 빗살 등의 기하학적 무늬‚ 만(卍)자 등의 불교적인 무늬와 꽃 수레바퀴무늬 등 아주 다양하다. 특히 떡살의 문양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좋은 일‚ 궂은 일‚ 돌‚ 회갑 등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서 제작되었다. 본 유물은 백자태극문원형떡살로‚ 순백자이며‚ 시기는 조선시대 19세기로 추정된다. 원형이며 문양은 화문으로 화문 중심에는 태극문이 있다. 단옷날의 수리치절편에는 수레무늬‚ 잔치떡에는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길상무늬를 찍었다. 특히 선물용으로 보내는 떡은 그 문양에 따라 보내는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떡살의 무늬는 일반적으로 가문에 따라 독특한 문양이 정해져 있었다. 그 문양은 좀처럼 바꾸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집안에 빌려 주지도 않았다. 부득이하게 떡살의 문양을 바꾸어야 할 때에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집안의 상징적인 무늬로 통용되었다. 생활의 사소한 것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치장하기를 즐기던 우리 문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떡살은 선조들의 격조 있던 음식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떡살은 주로 조선시대 19세기에 생활기명으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