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호파편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호파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시대의 청자는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로 형체를 만들고 잘 말려 섭씨 700 내지 800도에서 한 번 구워낸 다음‚ 그 의에 철분이 1내기 3퍼센트 정도 들어 있는 석회질의 유약을 입혀 1250 내지 1300도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내 자화(磁化)한 자기의 일종을 말한다. 이때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보석인 비취의 색과 유사하며 거의 투명하다. 그릇을 두 번 구워내면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 되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 바탕에 비취색 유약이 입혀지게 되어 이를 비색(翡色)이라 한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그것을 만든 나라와 지방‚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가 있고 굽는 방식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색도 다르게 나타난다. 일한 차이는 주로 태토와 유약에 섞여있는 철분을 주로 한 미량의 광물질 함유량과 환원염이냐 산화염이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최성기인 12세기의 고려청자는 환원번조(還元燔造)로 고운 비취옥 같은 아음다운 비색을 보이지만 불길이 좋지 않아 산화염(酸化炎)으로 되어 황색이나 갈색을 머금고 있는 것도 있다. 또 같은 그릇인데도 어느 부위는 비취빛이고 어느 부위는 갈색을 머금은 예도 상당량에 달한다. 고려청자는 12세기 전반에 비색청자로써 그 유례가 없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중국의 청자가 색이 진하고 유약이 두껍고 불투명하며 기형은 예리하지만 장중한 데 비하여 고려청자는 은은하면서도 맑고 명랑한 비색 유약과 유려한 선의 흐름‚ 탄력 있고 생동감 넘치는 형태‚ 조각도의 힘찬 선과 회화적이며 시적인 운치가 있는 상감문양 등이 특색이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자 파편 두 점이다. 하나는 굽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동체(胴體) 파편이다. 유색(釉色)은 진한 올리브 그린이다. 본 유물은 인천광역시 남구 문학동에 위치한 학산서원지(鶴山書院址)에서 출토되었다. 학산서원지는 문학동 도천현(禱?峴)에서 삼호현(三呼峴)으로 오르는 중간 길 우편에 위치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초석과 돌계단·기와 편 등이 흩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밭이 되어 흔적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학산 서원은 인천 부사를 지낸 이단상(李端相)을 봉사하고‚ 역시 인천 부사를 지낸 그의 아들 이희조(李喜朝)를 추배한 서원이다. 「증보문헌비고」각도 사원(祠院)조에 「인천 학산 서원은 숙종 28년(1702)에 건립되어 동 34년(1708)에 사액(賜額)되었는데 조선조 부제학 이단상을 배향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이조 참판 이희조를 영조 2년(1726)에 추배하였다」고 하였다. 본 유물은 항아리의 파편으로 생각되는데 굽 부분까지 전면(全面)에 유약을 시유(施釉)하였고 유면(釉面)도 매끄럽다. 물레에서 성형을 한 후에 기면(器面)을 정리하지 않아 물레자국이 남아있다. 본 유물은 학산서원이 조선 후기에 건립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서원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보이기는 어려울 듯 하며 이 서원이 세워지기 이전 시기에 사용하던 것이 서원이 세워지면서 묻혀 있다가 출토된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