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이 보낸 것이다. 오랫동안 높은 담론(談論)을 듣지 못하여 천하고 인색한 마음이 움틉니다. 듣건대‚ 작년에 승복(僧服)을 걸치고 상경(上京)하여 세도가(勢道家)의 집을 가난한 사람의 집 보듯 하고‚ 서울의 거리를 마치 청산(靑山)을 거닐 듯이 돌아다니셨다 하니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합니다. 그러나 물질을 따라 마음이 옮아가는 것이 인정(人?)인데 원숭이들의 요란스러운 데 유혹되지는 않으셨습니까. 웃음의 말입니다. 봄빛이 이미 저무는데 존체(尊體) 보중(保重)하시고 승가(僧伽) 생활 안온하신지요. 저는 세상사로 골몰함이 그칠 새 없으니 민망합니다. 저의 집 가고(家稿)는 고명(高明)한 분의 찬조로 뜻한 바를 이루었으니‚ 이 얼마나 다행하고 다행한 일입니까. 이에 한 질(帙)을 바치오며 이로 인하여 산문(山門)이 진정으로 나를 위하여 오래도록 전해지면 다행이겠습니다. 나머지는 바빠서 예를 갖추지 못합니다. 갑인년(1914) 3월 16일 왕수환 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