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이 김택영에게 보낸 것이다. 예(禮)를 생략하고 아룁니다. 여름철이 되니 멀리 회남(?南) 땅의 더위가 생각납니다. 선생의 기체 열대 지방의 병에 시달리지 않으시며 집안도 평안하시고‚ 제자는 공부 잘하며 한묵림서국(翰墨林書局)의 여러분들도 두루 평안한지 멀리서 아울러 빕니다. 저는 지난달 20일 후에 저의 오막집에 불이 나서 이웃 마을 사람들이 달려와 꺼주었는데‚ 아래채는 다행히 타는 것을 면했으나‚ 윗채는 다 타버렸습니다. 5월의 짚과 삼개가 다 떨어진 시기라 간신히 모아 10일 후에야 겨우 지붕을 고쳤습니다만 초서일지(?棲一枝)처럼 또한 안정되지 못하여 우습습니다. 전에 올린 편지는 바빠서 빠뜨린 것이 많았기 때문에 이에 다시 말씀드립니다. 가고(家稿)는 더할 나위 없이 잘 되어서 저에게는 과분합니다. 선생의 높은 덕과 큰 은혜가 아니면 이와 같이 되었겠습니까. 그러나 모든 일이 자기에게 간절하면 과도하게 생각하는 것이 어리석은 사람들의 통병(通病)이나‚ 선생이 그 어리석음을 웃고 용서하신다면 다행이겠습니다. 학공(?公)의 서문(序文) 가운데 왕중(?仲)과 저와의 관계에 대해서 곽분양(郭汾陽)과 곽숭도(郭崇韜)와의 관계와 같다 말하면서 친하면서도 친하지 아니하고‚ 가까우면서도 가깝지 않다 하였으니 문장의 법도(法度)가 이럴 수도 있습니까. 당 선종(唐 宣宗)이 어리 때 우리 나라로 유람와서 송도(松都)祖父)의 시(詩)는 1400수(首 )인데 23수만을 취하였으니 이는 46수도 취할 수 있을 것이고‚ 선부(先父)의 시는 또 1200수인데 35수만을 취하였으니 이것은 70수도 취할 수 있을 것이며‚ 숙부의 시는 2000수인데 220수를 취하였으니 이것도 4백수를 취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선생은 다만 재정이 궁하다는 이유로 이와 같이 하셨습니다만‚ 저로서는 어찌 구슬을 빠뜨린 애석한 마음이 없겠습니까. 그러나 이미 완성된 책을 다 고칠 수는 없는 것이요‚ 다만 숙부의 시만이라도 一백수쯤 더 뽑아 주시면 나는 한(?)이 없겠습니다. 전번 편지에 이미 그 까닭을 말씀드렸으므로 꺼려하지 마시고 다시 수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머지는 갖추지 못하옵고 후례(候禮)를 올립니다. 비용을 빨리 알려 주시면 지체하지 않고 곧 보내겠습니다. 권?박(權?朴)의 두 형은 요즈음 태평합니다. 저의 친구 중에 두 선비가 있는데 창강고(滄江稿) 얻기를 간절히 소망하고 있으니‚ 혹 남은 것이 있으시면 선생께서 두 질(帙)을 값을 정하여 보내 주시되‚ 두 질이 안 되면 한 질만이라도 보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양해하시길 간곡히 바랍니다. 왕수환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마가압(摩訶岬)에 이르러 보육(寶育)의 집에 머물면서 그 딸을 사랑하여 작제건(作帝建)을 낳았다. 작제건이 활을 메고 상선(商船)을 따라 천자(?子)인 아버지를 뵈러 간다고 했은즉‚ 저의 선조는 분명 농서 이씨 (?西李氏)인데 하필이면 구구하게 왕중(?仲)을 인용합니까. 중국인은 성(?)이 같으면 문득 우리집 아무 어른이라고 칭(稱)한다 하지만‚ 저는 그 가부(可否)를 모르겠으니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가고(家稿)의 정선(精選)은 이미 승복(承服)합니다만 이제 한 말씀드리는 것은 반드시 이의가 있어서가 아닙니다. 다만 전일에는 자기 힘으로 하는 것이어서 다른 것은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했었는데 이제 와서 세상에 공포하고자 하니 인정과 물태(物態)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조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