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조한정필 서간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한정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조한정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한정(漢貞)은 본래 서울 사람입니다. 젊었을 때 옥천(沃川) 객지에 우거하다가 10년 전에 무장(戊長)으로 와서 사는데‚ 그것은 빈곤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영광(靈光) 이진사(李進士) 강제(康濟)와 사귀게 되었고‚ 자주 그 문자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연전에 이진사가 말하기를‚ 구례(求禮) 문사(文士) 황매천(黃梅泉)이 이미 의(義)에 죽고‚ 문집이 세상에 나왔다고 하며 내가 형을 위해서 한 질을 주도록 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제가 본래 매천 선생을 서울 윤상서(尹尙書) 파강(巴江)의 집에서 여러 차례 만나 얼굴을 알고 있었습니다. 혹 그의 시를 볼 수 있다면 흔연히 나의 소원을 이룬다고 하겠는데‚ 금년 가을에 이(李)가 동쪽으로 갔다가 돌아와서 말하기를‚ 자네를 위한 계획이 틀렸다고 하기에 마침내 삭막한 기분으로 어찌 해야 좋을지 몰랐습니다. 돌아보건대‚ 나의 문자 공부가 울타리 가에 버려진 물건 같아 쓸 대가 없으나‚ 매양 충신(忠臣)과 의사(義士)의 글을 얻으면 일직이 강개(慷慨)하여 눈물을 흘리지 아니할 수 없었습니다. 만약 매천집 한 질을 얻는다면 유명(幽明)의 사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제 듣건대‚ 중도에서 응낙을 고친 것은 저의 본색(本色)을 자세히 알지 못하여 그러하셨습니까? 아니면 주어서는 안 될 사람이라고 하여 그러하셨습니까? 사는 곳이 분명치 아니하여 그러셨습니까? 우편으로 책을 부치더라는 말을 이씨로부터 들었기 때문에 이에 파리가 기마 꼬리에 붙은 격(格)으로 한 질을 주신다면 이 어찌 좌하의 주선하신 덕택이 아니겠습니까? 비록 먼저 부조(扶助)는 못하나‚ 문집이 오면 즉시 2원금을 어떤 방법으로든 우편으로 부치겠습니다. 추위가 심한 이 때에 존체 만녕(萬寧)하시기를 빕니다. 을묘년(1915) 11월 15일 조한정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