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안종학필 서간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안종학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안종학(安鍾鶴)의 호는 지봉(支峰)으로 전남 보성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안종학이 왕수환?박창현?권봉수에게 보낸 것이다. 종학(鍾鶴)은 고루하고 용렬하여 사람 축에 족히 낄 수도 없는데 여러분께서 어디에서 잘못 들으시고 명성과 덕망을 굽혀 지나치게 저를 기억하고 물어 주시니 옛 도를 볼 수 있겠으나 종학(鐘鶴)의 어리석음으로 어떻게 감당하겠습니까? 감격하고 부끄럽습니다. 아직까지 답장을 하지 못한 것은 비록 저의 집의 사사로운 일로 인한 것이오나 불민(不敏)한 죄는 감히 용서받지 못하겠아온데 거듭 편지를 받으니 헤아릴 수 없는 성덕(盛德)을 알겠아오며‚ 부지런하고 게으름의 거리가 어찌 위아래(上下) 마루 사이 뿐이겠습니까? 지극히 추운 이 때 여러분의 기거(起居) 만중하신지요? 저는 지닌 병을 면했을 뿐입니다. 매천(梅泉) 황공의 순국은 열렬하여 옛 의사(義士)의 기풍이 있으니‚ 이에 우리 나라의 끊어지려던 강상(綱常)이 힘입어 떨어지지 아니하여 저처럼 몸에 피없는 사람도 실성 대통함을 깨닫지 못하겠으며‚ 단지 평일에 매천공을 따라 놀았던 정뿐만이 아닙니다. 김창강이 외국에 떠돌면서 얽힌 일을 풀어나가는 어려움을 꺼리지 아니하고 장차 매천 유고를 간행함에 스스로 담당한다 하니‚ 이는 비록 재주를 사랑하는 공심(公心)에서 나온 것이겠으나 또한 슬퍼집니다. 고점리(高漸離)가 비파(琵琶)를 치고 형가(荊軻)가 화답하는 기미가 있는 것과 같으니 어찌 우리들만의 영광이리오. 진실로 천년(千年)에 기특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이곳 사우(士友)들 또한 존경하여 복종하지 않음이 없으나‚ 다만 줄 만한 사람은 거개가 궁(窮)하여 자립하지 못하는 자 뿐이만 스스로 천청을 쳐다보며 길게 탄식할 뿐입니다. 나머지는 할말이 많으나 먼 편지에 감히 많은 말을 하지 못합니다. 오직 여러분의 기체(氣體) 때에 따라 보중하시길 빕니다. 신해년(1911) 11월 27일 기복생(朞服生) 안종학 배수 월곡(月谷)에 가는 조장을 동봉하여 보내니 받은 즉시 꼭 전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므로 어떻게 줄 것인가? 저는 탄식할 따름입니다. 남은 자식의 복잡한 일로 어찌 다 말하겠습니까? 절의(節義) 보기를 쓰레기 같이 하고‚ 문장 싫어하기를 원수같이 하는 것은 계륜이 떡 파는 집의 중개인을 하고‚ 사약이 개 잡는 거리에서 쇠코잠방이를 입은 격입니다. 뭇 사람이 떠들썩하게 왕래하여 풍속을 이루고 오직 이(利) 이것만을 찾는다. 세상에 의(義)를 중(重)히 하며 베풀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으련만 저는 보지 못하였습니다. 말을 하자면 고통스러워 어찌하겠습니까? 저 또한 전년에 비하여 더욱 영락(零落)해지고 거듭 상고(喪故)를 당하여 동짓달에 겨우 장사(葬事)를 마쳤으니 실로 이 일에 힘이 될 수가 없고‚ 조금 주선함을 기다리면 또 때에 늦을 염려가 있어 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