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박영모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박영모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박영모(朴令模)는 전남 광양(光陽) 봉강면(鳳岡面) 출신이다. 매천집분질자(梅泉集分帙者)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글은 박영모가 황원에게 보낸 편지이다. 영모(令模)는 배배하고 아룁니다. 영모는 일찍이 오래전부터 선생을 사모하였으나 가까이서 모실 수 있는 계제가 없었음을 유감스럽게 여겼습니다. 다행히도 작년 가을에 어떤 인연으로 여러번 선생을 모실 수 있었던 바‚ 그 풍체(風體)의 높음고 담론(談論)의 상쾌함과 식견(識見)의 넒음이 매양 사람으로 하여금 시원하게 맑은 바람이 옷깃에 들어와 막히고 고루한 생각을 얼마쯤이라도 씻어 좁은 도량을 없앨 수 있는 것 같으니‚ 이것이 저와 같이 미천한 사람의 처지에서 있기 어려운 일인즉 그 다행함이 더욱 어떠하겠습니까? 다만 사는 거리가 멀어 가끔 문하(門下)에 나아가 가르침을 받지 못하는 것은 형편 때문이니 크게 탄식할 것은 없습니다. 지난 여름에 선생이 다시 저의 이웃에 오셨는데 어찌 전번과 같이 머무르시어 저로 하여금 거듭 모시는 인연이 되도록 하지 않았습니까? 그러기 때문에 갈팡질팡하며 자탄(自歎)함이 오랠수록 더욱 간절해집니다. 이미 나이와 모습의 늙고 젊음과 같이 인문(人文)의 높고 낮은 것은 선생에게는 비할 수 없고‚ 감히 사랑하거나 사랑하지 않거나를 바라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 마음의 다행함은 오직 인정(人?) 이것에 있으니 바라지 않아도 되고‚ 바래도 안 된다면 차라리 섭섭하지 않을 것인데 어찌 탄식하고 애석하지 않습니까? 이것은 저의 선생에게 향하는 구구한 충정이요‚ 다만 일시적으로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생은 끝내 어찌하겠습니까? 답을 해주시지오. 들으니 매천집 간행 허가를 이미 쉽게 얻기를‚ 덕망 있는 어른들의 행위는 사람에게 의심이 없도록 하라하였는데 하물며 선생이 하시는 이 일에 있어서 어찌 사람으로 하여금 의심을 품게 하십니까? 선생을 위하여 애석하게 생각합니다. 오직 선생은 달래어 말씀하시기를 작은 일이니 괜찮다라고 하시지 않은다면 좋겠습니다. 지난봄에 초(抄)하였던 명가척독(名家尺牘) 은 장차 어떻게 하실 것입니까? 아마도 그대로 두고 있는 것은 생존자의 글을 수록하지 않아서 분량이 적어 책자가 될 수 없기 때문이 아닙니까? 들으니‚ 심재가 죽었다 하는데 문단(文壇)을 위하여 탄식합니다. 이제는 그의 글을 취(取)하여 넣고‚ 또 사대가(四?家)의 글을 널리 구하여 오가척독(五家尺牘)을 만드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이는 선생만이 할 수 있으니 보잘것없는 제가 어찌 감히 덧붙여 말할 수 있겠습니까? 정자(程子)가 말씀하시기를 「편지한 선비에게 가장 가까운 일이다」라고 했으니‚ 이것은 가볍고 쉽게 여기지 못할 것이요‚ 또 선배 문인 장자(長者)가 차례로 돌아가시니 이제 후생(後生)들 가운데 여기에 뜻이 있는 자가 장차 어디로 향할 수 있겠습니까? 아! 선배들에게 이미 말로 가르치고‚ 마음으로 가르쳐 주심을 받지 못하였으니‚ 그 글을 읽고 그 한두 가지의 본보기를 엿보는 것이 어찌 만의 하나라도 다행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국내(國內)의 원근 선비들은 장차 무엇으로써 이에 따라가겠습니까? 그런 까닭에 선생이 이 일을 계획한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직접 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처럼 깊이 바라는 데에 미치지 못할까 두렵습니다. 매천집은 얼마나 되어 갑니까? 위에서 말한 척독(尺牘)은 곧바로 간행을 도모하여 국내에 함께 반포하여 후진을 개발해 주시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홀로 세상 일이 더욱 거칠어짐을 생각하니 선생은 또 늙으셨고‚ 만약 불행스럽게도 돌아가신다면 이제 누가 맡아서 흩어지지 않도록 하겠습니까? 이제까지는 선생께서 별 병이 없었습니다. 또 겨우 한 달밖에 모시지 못했습니다마는 오히려 이같이 섭섭한 마음이 일어나는데 하물며 선생이 불행하게 된 뒤에 없다면 일찍이 우러러 사모하던 풍체(風體)와 여택(麗澤)을 장차 만의 하나라도 어디에서 구하겠습니까? 그런 까닭에 저는 더욱 선생에게 번거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요컨대 이것으로써는 선생에게 번거롭게 하는 것입니다. 선생이 잘 살펴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나머지는 다른 쪽지에 있으므로 이만 줄입니다. 선생은 오직 유학(儒學)을 위하여 천만 자애(自愛)하십시오. 계유년(1933) 8월 14일 시하생 박영모 재배 상서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었으며‚ 또 사우(士友)의 도움이 있다고 하니‚ 이것은 어찌 선생의 계책과 일의 처리가 남보다 뛰어나고 또한 사방의 인사들이 함께 말없이 도와 이루어진 것이 아니겠습니까? 매천의 문장과 기절(氣節)은 이미 백세(百世)에 모범이 되기에 넉넉하니‚ 이 발간의 일은 어찌 후인들이 마땅히 책임져야 할 바가 아니겠습니까? 그런데도 선생은 형제간의 천륜으로 이미 재간(再刊)을 해버렸으니 후인들은 장차 무엇을 하겠습니까? 장차 팔짱 끼고 편히 앉아 그 글을 읽고 사모하며 천년 후까지 읊도록 하니 얼마나 다행한 일입니까? 이곳 이웃 허씨와 약속한 것을 어찌 헛되게 하셨습니까? 만일 약속을 어길 형편이라면 편지를 내어 일찍이 사정을 알리지 않으셨습니까? 전광(田廣)이 말하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