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외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외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권봉수(權鳳? 1872-1940)의 자는 경소(景韶)‚ 호는 지촌(芝村)‚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매천의 제자이면서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박창현(朴暢鉉 1863-1929)의 자는 춘경(春卿)‚ 호는 매사(梅史)‚ 본관은 순천(順?)으로 전남 구례 출신이다.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 박창현‚ 권봉수 세 사람이 오한서에게 보낸 것이다. 한번 헤어진 이후로 감히 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세월은 흘러 10여 년이 되니‚ 격세(隔世)의 탄식을 어찌 다하겠습니까? 중간에 아프신 몸 돌이켜 생각하매 오히려 걱정이 되오나 이제는 담배를 끊으시어 기력이 전보다 배나 좋다 하시니‚ 아마 전갱팽조(??膨祖)와 함께 인간 세상에 유희(遊戱)하십니까? 멀리서 축하드립니다. 때는 저물어 가는 가을에 정양(靖養)하는 기체후 신의 도움으로 편안하시고 자제가 편안히 모시며 모든 집안이 균길(均吉)하시기를 빌어 마지않습니다. 저는 전과 다름 없으며 너더분한 일은 10배나 되어 민망히 생각한들 어찌하겠습니까? 이곳의 벗들은 바야흐로 매천집 모간 일로 고심하고 있습니다. 중국 회남의 김창강이 고국 유민에게 편지를 보내와 의리상 사양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하 생략) 왕수환?권봉수?박창현 재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