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군자8폭병풍

추천0 조회수 26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군자8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황용하(黃庸河‚ 20세기)는 호가 미산(美山)으로 개성출신 4형제 화가(우석 황종하‚ 우청 황성하‚ 국촌 황경하‚ 미산 황용하) 가운데 막내이다. 그 역시 형들처럼 산수‚ 인물‚ 화조‚ 사군자 등을 잘 그렸으며 특히 손가락 그림(指頭畵)을 잘 그렸다. 주로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여러 차례 특선과 입선을 하였는데‚ 특히 난초와 국화에 뛰어났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의 순서로 각기 2폭씩 이루어진 8폭 병풍이다. 지금까지 도판으로 소개된 황용하의 작품 중에서는 가장 대작이라 할 수 있다. 또 병풍의 구성이 현재 사군자를 일컫는 순서인 매란국죽의 순서대로 구성되어 재미있다. 화풍상으로는 그의 다른 사군자와 같이 빠르고 생략적인 필치의 사의적(寫意的)인 것이다. 각폭에 적힌 제시의 행초서체(行草書體)도 그의 다른 작품에서와 같다. 제시들은 다음과 같다. `매화 제1폭 층계 진 얼음과 겹쳐진 눈이 이와 같으나‚ 한 그루 나무의 매화가 홀로 봄빛을 띠었네. (層氷疊雪今?許 一樹寒華花獸帶春) `매화 제2폭 그(매화)의 도(道)는 한 겨울의 양(陽)의 도이다. 눈 속에 홀로 핀 매화를 그렸다. (其道?冬陽道 ?寫梅雪而獸開花)” `난초 제3폭 귀한데 처하여 지위가 높으나 능히 스스로 낮출 수 있고‚ 어려운 처지에도 스스로 지킬 수 있네. 이 바위는 혹 굴릴 수 있으나‚ 이 뿌리는 끝내 옮길 수 없네. (居貴高能下 値儉在自持 此石日或可轉 此根終不移) `난초 제4폭 설초는 깊은 산에서 자라고 난 꽃은 그윽한 골짜기를 채웠네. 하늘이 내린 아름다운 자태‚ 왕자를 기다리며 그렸네. (雪草生渙山 蘭花滿幽壑 ?生絶世皺 以待?者作). `국화 제5폭 하늘이 황색 중정의 덕을 나에게 내리셨으니‚ 미친 바람과 매운 서리가 나에게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生黃中之德於予 狂風嚴霜其?予何) `국화 제6폭 오직 노란 국화만이 가을에 더욱 기가 왕성하고 향기로운데‚ 저 군자는 불행히도 이와 비슷하네. 그 비슷함으로 (인하여 국화를) 사랑하니‚ 사랑한 이 누구인가? 옛날의 도연명이라네. (?黃化秋?氣?芳 彼君子者不幸而似之 ?其似之 是以愛之 愛之其誰 古有元亮) `대나무 제7폭 봉황새는 비록 오지 않아도 어찌 푸른색 (지조를) 바꾸랴?(鳳鳥雖不至 寧改蒼翠色) `대나무 제8폭 그 속은 비었고 줄기는 곧으며‚ 서리와 눈을 이기며 사계절 항상 푸르다네. 군자는 이런 덕을 지니므로 (대나무를) 사랑한다네. (其心虛其幹直 凌霜傲雪 貫四時而蒼翠 君子有此德 是以愛之).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