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납12폭병풍

추천0 조회수 13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납12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백납도는 다양한 화제를 한 폭의 그림에 세로로 나열하여 그린 것을 말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추연(秋硏) 전승진(全承振)의 작품으로‚ 각각 다른 화제를 같은 크기의 직사각의 틀 속에 그린 전체 12폭 병풍으로 제작된 백납도이다. 한폭에 각각 다섯 가지 그림으로 구성되었는데‚ 각폭의 첫 화재는 모두 산수화를 그리고 있다. 산은 태서법을 사용하여 명암을 나타냈고 거기에 피마준 부분적으로 넣어 질감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원산은 파란색과 갈색으로 엷게 채색하여 나타냈다. 이 산수화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중국풍의 의복차림을 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중국화보의 화재를 채택해 그린 듯 하다. 이는 산수화뿐만 아니라 영모화 중 말 그림에서도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각 폭의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림의 화제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화조나 초충이 중심이 되고 있다. 모란‚ 배꽃‚ 국화‚ 소나무‚ 난‚ 매화‚ 연꽃‚ 목련‚ 석류 등 사군자와 민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화제를 총망라하고 있다. 특히 제5폭의 책거리의 소재를 떼어놓은 듯한 기명절지화는 짙은 채색 때문에 이 병풍 그림의 전체 이미지와는 약간 동떨어져 보인다. 매 폭의 네 번째 그림의 화재는 영모화가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5‚ 6폭은 경작도와 김시의 동자견려도의 한 장면을 각각 그리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작가가 화재를 다양한 곳에서 옮겨 온 흔적이라 볼 수 있겠다. 한 쌍의 토끼와 묘작도에서 토끼와 고양이는 지나치게 발이 짧고 앞 몸통이 쳐지게 그려져 불균형을 이루지만 나름대로 해학미를 엿볼 수 있다. 각 폭의 마지막 화제는 주로 어해도가 중심이 되고 있는데 메기‚ 붕어‚ 잉어 새우‚ 게‚ 쏘가리‚ 거북이‚ 조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가 등장하고 있다. 같은 게를 묘사하는데도 묵으로만 그린 제2폭과 제9폭의 채색이 가미된 게는 몰골법과 구륵법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여 그려 같은 화재에 대해 변화를 주기 위한 배려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화제를 12폭 병풍에서 자연스럽게 소화해낸 작가의 역량을 짐작해 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각각의 화재를 하나의 병풍에서 비교하며 감상하는 재미 또한 쏠쏠한 작품이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