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조6폭병풍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6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민화란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 조선 후기 서민층에 유행하였으며‚ 대부분이 정식 그림교육을 받지 못한 무명화가나 떠돌이화가들이 그렸으며‚ 서민들의 일상생활양식과 관습 등의 항상성(?常?)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였기 때문에 창의성보다는 되풀이하여 그려져 형식화한 유형에 따라 인습적으로 계승되었다. 이중 화조화는 민화 가운게 가장 많이 그려진 주제로 생활화‚ 실용화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현세복락주의적인 그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보적 필법이 무시되고 색채도 대부분 진채가 쓰이며‚ 서민의 취향에 알맞은 자유로운 표현력을 지닌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총 6폭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전대의 모본을 토대로 하여 그린 전형적인 화조도이다. 정형화된 바위를 근간 삼았는데 바위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보아 여성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 매화‚ 연꽃‚ 목단‚ 유자 등 각종 나무와 함께 서로를 응시하고 있는 한 쌍의 새가 정겹게 제시된 그림이다. 아마도 신방을 장식하였을 그림답게 부부금실과 부귀장수를 강조하는 그림이다. 바위의 채색‚ 나무등걸과 잎맥의 표현‚ 새들의 세필묘사‚ 진채의 적절한 사용 등 화자가 정성을 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제 1폭‚ 송하쌍학도 : 소나무 가지에는 붉은 달이 걸렸고 나무 아래 학 두 마리가 다정하게 서 있다. 학과 소나무 바위는 모두 장수의 상징이다. 두 마리의 학은 학수송령(鶴壽松齡)을 나타낸 것이며‚ 언덕 아래 피어난 불로초 역시 장수의 뜻이다. 소나무의 묘사와 소나무에 걸린 구름의 여백처리가 인상적이다. 제 2폭‚ 매화금조도 : 바위에 뿌리를 깊게 박은 매화나무와 한 쌍의 금조를 아래위로 배치하여 서로 응시하는 모습으로 그렸다. 부부금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화줄기의 꿈틀거리는 듯한 동선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소곳이 서로를 응시하고 있는 금조의 조화가 아름답다. 한편 하단의 마름모꼴 바위에 사용한 다소 튀는 듯한 진청색이 새의 꽁지에도 채색되어 있어 채색의 균형을 꾀한 점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계획성 있는 채색의 사용은 다른 폭에서도 잘 보여져 화자의 재치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기울어진 바위에서 떨어질 듯 비스듬히 앉아있는 새는 꽁지를 한껏 위로 치켜들고 있어 자칫 우측으로 기울법한 구도의 균형을 잡아주고 있다. 제 3폭‚ 연지유압도 : 연못에는 한 쌍의 원앙이 헤엄치고‚ 연꽃 위에는 또 한 쌍의 작은 새가 날아든다. 역시 부부금실을 뜻하는 그림이다. 제 4폭‚ 유자원앙도 : 유자나무와 한실재의 새가 아닌 상상의 새이기 때문에 모습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대나무 열매를 먹고 오동나무 그늘에서 산다고 한다. 화려한 색상을 지닌 봉황은 사신도 중의 붉은 새(朱雀)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화조도의 일종으로 취급되어 암수가 쌍을 지었다. 그림에 나타난 봉황은 머리는 닭 모양이고 꼬리는 다섯 개이며 몸체는 색동옷처럼 띠를 둘렀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쌍의 원앙을 그린 것으로 바위 아래에는 붉은 꽃이 피었다. 유자는 중국 삼국시대 육손의 효행과 관련하여 효자에 비유되기도 한다. 시원스럽게 뻗은 유자나무의 줄기와 가지의 처리가 매우 숙달된 느낌이다. 제 5폭‚ 목단쌍치도 : 바위 위에 한 쌍의 꿩이 서로 몸을 틀어 마주보고 있고‚ 바위 위로 목단 줄기가 길게 자라서 붉은 모란꽃이 만개하였다. 담먹으로 나무 줄기와 잎맥을 표현하고 잎 바탕은 노란색으로 담채하였다. 모란꽃이 줄기에 비해 지나치게 크나 아직 피지 않은 꽃봉오리를 동그랗게 그려놓은 표현이 재미있다. 제 6폭‚ 동하쌍봉도 : 봉황은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군왕이 갖출 모든 조건을 상징적으로 갖추었다 하여 군왕을 상징해 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