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팔준도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팔준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윤덕희의 자는 경백(敬伯)이며‚ 호는 낙서(駱西)?연옹(蓮翁)?연포(蓮圃) 또는 현옹(?翁)이다. 선비화가 윤두서(斗緖)의 아들이자 윤용의 아버지이다. 윤두서의 영향으로 화업을 계승하고 아버지의 화재를 그대로 이어받아 전통적이며 중국적인 소재의 도석인물(道釋人物)과 산수인물‚ 말 등을 잘 그렸다. 그러나 산수화를 비롯한 그의 작품들은 당시 화단을 풍미했던 남종화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보수적인 성향이 짙은 느낌을 준다. 필법이나 수지법 등에서 당시 화풍보다는 화보 중심의 전통적인 화풍을 구사하고 있다. 윤두서 일가의 소장품 중에는 남종 문인화풍의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고씨역대명인화보(顧氏歷代名人畵譜)≫도 있어서 그의 아버지처럼 남종화풍과 접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말의 묘사는 당시의 화보풍을 따르고 있으며‚ 나무와 배경을 이루는 야산은 남종화풍에서 주로 사용되는 미점과 피마준을 적절히 사용하여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호를 관서한 서체나 당시에 잘 취하지 않았던 작품크기 등을 감안할 때 윤덕희(尹德熙 1685~1776)의 호인 낙서(駱西)라는 낙관은 후낙일 가능성이 크지만 말의 다양한 움직임을 잘 포착한 필력이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없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