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란도

추천0 조회수 23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란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김용진은 본관이 안동이며‚ 서울태생이다. 자는 성구(聖九)이며‚ 호는 영운(穎雲)‚ 향석(香石)‚ 운정(芸庭)‚ 과정(果庭)‚ 중서(中栖)‚ 여금(侶琴)‚ 한인(?人)‚ 회오(?吾)‚ 일소(一笑)‚ 구룡산인(九龍山人)이다. 그리고 호당(堂號)는 미산석장(嵋山石莊)‚ 석고연재(石鼓硏齋)‚ 천수매관(千樹梅館)이다. 당시의 세력층인 안동김씨 문중을 배경으로 자라난 그는 한말에 세마(?馬)?수원군수 및 내부(內部)의 지방국장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으나‚ 43세(1905년)에 관직을 떠난 뒤에는 서화에만 전념하였다. 그런 이유로 현재 남아 있는 작품들은 대개 그가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던 1920년대부터 그의 만년인 1960년대까지 걸쳐 있으나‚ 주로 1940년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다. 1949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國展) 서예부 심사위원과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동방연서회(東方硏書會)의 명예회장과 한국서예가협회의 고문을 역임하였다. 글씨는 안진경체(顔眞卿體)의 해서와 한예(漢隷)에 바탕을 둔 예서 및 고격한 행서를 주로 썼고‚ 그림은 사군자와 수선화?모란?등꽃?연꽃?장미 등의 문인화(文人畵)를 즐겨 그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그림은 1940년대 그려진 김용진의 <석란도>이다. 난엽은 마치 각이 지고 딱딱한 서체에서 비롯한 획의 변형으로 보인다. 꽃술은 붉은 색 점을 찍어 화면의 분위기를 밝게 하는데 연출하고 있다. 그의 작품을 시기별로 구분해 보면‚ 1920년대는 유년기부터 익힌 서예 필력으로 힘차고 활달하다. 그러나 묵색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기교 면에서 서툰 점이 있다. 1930년대에는 스승 이도영의 영향으로 기명절지를 시도하고‚ 사군자와 화훼도 그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1940년대는 난을 즐겨 그렸는데 근대에 사군자 부문에서는 꼽힌다. 이 그림은 1940년에 그려진 <석란도>와 좌우만 바뀐 비슷한 구도로‚ 바위를 화면의 중심에 두고‚ 그 전면에 두 폭의 난을 그렸고‚ 그 뒷면에 한 두 폭의 난을 배치하였다. 화면의 절반을 차지하는 바위는 담채로 바탕을 칠한 후‚ 먹을 섞은 농채로 그 테두리와 질감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태점을 부분적으로 가하였다. 또한 난 주변의 토파를 묘사하면서 난엽과 같은 색깔의 담채로 눌러 찍은 태점은 김용진의 석란화에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다. 난엽은 그 꺾임이 자연스럽지 않고 갈필을 이용하여 묘사하였다. 난엽의 끝은 매끄럽지 않고 대개는 뭉툭하게 끊어진 점이 이 시기 김용진 난 그림의 특징이다. 또한 근대 중국 문인화의 거장인 오창석(吳昌碩)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묵란(墨蘭) 선조가 벼슬하다 물러 나와 살던 화성부(華城府) 반월면(半月面) 구룡산(九龍山) 아래 구룡동(九龍?)의 지명에서 기인한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회화사"‚ 안휘준‚ 1980. "한국회화의전통"‚안휘준‚1988. 과 묵죽(墨竹)에서는 민영익(閔泳翊)의 필법과 감화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만년에 이르러 많이 그렸던 꽃 그림들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색채구사와 전통적 품격의 필치는 그의 독자적인 경지를 구축하였다. 김용진은 유년기부터 배워온 문장과 서법을 바탕으로 그의 그림에는 예외 없이 시문과 낙관을 찍어 문인화적 풍취를 더하였다. 여기서도 예외는 아니다. “잎이 소소하니 『초사』와 『이소경』을 노래하고‚ 거문고 타니 맑게 갠 달빛이 고상하구나.”라고 하여 굴원(屈原)이 초나라의 멸망을 눈앞에 두고 애처롭게 읊었던 『초사』와 『이소경』을 시상(詩?)에 떠올려 화제시에 적었는데‚ 그의 문인취향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김용진은 자신의 서화 낙관에 ‘구룡산인(九龍山人)’이라는 호를 전용하였는데‚ 이는 그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