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정록

추천0 조회수 11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정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 허균(1569~1618)의 편서. <개설> 조선 중기에 작가 허균이 지은 교양서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閑?錄은 17권 4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유물은 이를 필사한 필사본이다. 閑?錄는 은거자의 정신적‚ 물질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국의 은거자들에 대한 자료와 농사법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 교양서이다. 1961년 성균관대학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한 <성소부부고(?所覆藁)>의 부록으로 실려 있으며‚ 1980년 아세아문화사에서 간행한 <허균전서>에도 수록되어 있다. 1981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하였다. 1610년(광해군 2년) <은둔(隱遁)>‚ <한적(閑適)>‚ <퇴휴(退休)>‚ <청사(?事)> 등의 4문(門)으로 나누어 편집하였다가‚ 1618년 내용을 증보하여 16문으로 구성하고 부록을 덧붙였다. 15문까지는 <은둔>‚ <고일(高逸)>‚ <한적>‚ <퇴휴>‚ <유흥(遊興)>‚ <아치(雅致)>‚ <숭검(崇儉)>‚ <임탄(任誕)>‚ <광회(曠懷)>‚ <유사(幽事)>‚ <명훈(名訓)>‚ <정업(靜業)>‚ <현상(?賞)>‚ <청공(?供)>‚ <섭생(攝生)> 등 해당 주제에 따라 이와 관련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중국의 서적에서 채록하였다. 16문인 <치농(治農)>은 은둔자의 생활 방편으로 중요한 농사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명나라 농서인 <도주공치부기서(陶朱公治富套書)>를 발췌 ?수록하였다. 여기에는 농사법뿐만 아니라 양잠(養蠶)‚ 양우(養牛)‚ 양어(養魚)‚ 양계(養鷄) 등에 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 치농조는 조선 후기에 맨처음으로 시도된 농서로서 농업에 관한 중국 고서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농사직설(農事直說)>‚ <금양잡록(衿陽雜錄)> 등과는 다른 경향의 농서로 평가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