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로면 노은리 불당골 가마터2 도자기편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로면 노은리 불당골 가마터2 도자기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노은리 불당골 가마터 2지점에서 발견된 도자기편 <위치와 유적입지> 불당골가마터1이 있는 구릉의 남동으로 300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데 계단상의 밭으로 개간하면서 밭둑으로 이용되다가 최근 과수를 식재(植栽)하기 위한 개간작업시에 가마의 앞부분이 일부 훼손되었는데 청자편과 백자편 그리고 벽체편들이 과수밭에 흩어져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1은 녹황색을 띠는 청자 굽편으로 태토는 암자색을 띠며 내외면은 심하게 산화되었다. 바닥에는 굵은 음각선이 한 줄 돌아가며 받침흔적이 3군데 남아 있고 내면 저부는 아래로 옴폭하다. 외면에는 성형시의 띠흔이 잘 관찰되며 저부쪽에 한 줄의 음각선이 돌아가며 저부는 아래로 처졌으나 중앙은 구평으로 잘린 형식이며 굽바닥에는 4군데 받침흔적이 남아 있다. 2는 두 개가 포개진 채로 수습되었는데 연한 녹색을 띠는 청저 굽편으로 발색은 고르지 않고 단면에서 관찰되는 색은 회백색이며 내외면에 빙열이 관찰되며 바닥을 보면 내면은 옴폭하지만 외면은 편평하다. 내부에 4개의 받침흔적이 남아 있으며 아래쪽의 저부에는 가는 석립이 고착되어 있다. 3은 연두색을 띠는 접시의 저부편으로 빙열이 관찰되며 단면색은 회백색인데 소성시에 비틀린 흔적을 보이고 있다. 내면 바닥은 오목하지만 외면으로의 돌출현상은 보이지 않는다. 굽은 없으며 저부의 동체 일부가 바닥과 닿도록 성형되었다. 4는 담록색을 띠는 청자 굽편으로 바닥은 가운데가 약간 위로 융기되었으며 받침흔적이 4군데에 남아 있다. 외면에는 성형시의 물레자국이 남아 있으며 저부 중앙은 위로 옴폭하게 들어 갔다. 굽바닥에는 4군데에 받침흔적이 남아 있고 부분적으로 유약이 탈락하여 자색으로 나타난다. 5는 초벌구이 굽편으로 회청색을 띠는 부분적으로 산화되어 적갈색을 보이고 있는데 저부의 외면에 심하게 나타난다. 내외면에는 성형흔적이 잘 남아 있으며 내면의 저부는 오목하게 패였고 외면의 저부는 이래로 약간 처졌지만 중앙은 위로 들려 있다. 내부에는 모래받침을 사용한 흔적이 두 군데 남아 있다. 형태로 보아서 청자 대접의 초벌구이편으로 추정된다. 6은 담록색을 띠는 청자 굽편으로 부분적으로 산화되어 회청색이나 황갈색을 띠는 부분들이 관찰된다. 외면에는 성형흔적이 잘 남아 있으나 내면은 매끈하게 정면하였다. 바닥은 안쪽은 편평하지만 외면의 중앙은 뾰족하게 마무리되었다. 굽바닥에는 받침흔적이 3군데 확인되며‚ 내면에는 2군데에서 관찰된다. 7은 외면은 청회색을 띠지만 내면은 약간 짙은 청색을 띠는 청자 굽으로 전체적으로 빙열이 관찰되며 단면색은 흑청색이다. 내면에 한줄의 음각선이 며 포개어진 굽편도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굽의 외면에는 불규칙한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굽의 바닥에는 가는 사립이 붙어 있다. 10은 청자대접의 구연부편으로 세점이 엉겨 붙어져 있는데 내면은 녹청색을 띠지만 외면은 담록색을 띠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박락이 심하다. 내외면에는 물레에 의한 성형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11은 청자 평저 병의 저부편으로 추정되는데 바닥일부만 남아 있다. 외면은 산화되어 회갈색을 띠는 부분이 많으며 저부는 유약이 발라져 있지 않다. 속심은 암자색이며 내면에는 넓은 융기대를 남기고 있어서 굵은 점토띠에 의한 성형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약은 입혀지지 않았다. 12는 도짐이편으로 네 점인데 세종류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한 쪽이 높고 한 쪽이 낮은 형태로 태토는 석립과 점토를 이용하여 만들었는데 작은 할석이 1-2개씩 섞여 있다. 부분적으로 고동색의 자연유가 분출되어 있다. 소성시에 그릇을 받치는 부분에는 가는 석립이 고착되어 있다. 둘째는 같은 형태이지만 높이에서 약간 낮은(4.2㎝) 형태에 속하는 것으로 고동색의 자연유가 분출되어 있다. 셋째는 원통형으로 생긴 것으로 태토의 성분은 앞의 도짐이와 차이가 없지만 자연유이 분출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가마바닥 쪽으로 놓이는 부분은 붉게 산화되었고 바닥은 사각형에 가깝게 성형하였다. 13은 벽체편으로 적갈색을 띠며 굵은 석립이 고착되어 있는데 벽의 안쪽에 해당되는 곳에는 일부 유리질화된 곳도 관찰된다. 돌아가며 바닥쪽에 5군데에 받침흔적이 남아 있다. 외면의 바닥중앙은 아래로 뾰족하게 성형하였으며 굽바닥에는 5군데에 받침흔적이 관찰된다. 내외면에 붙어 있는 받침흔적의 색깔은 흰색이다. 8은 황갈색을 띠는 초벌구이 저부편인데 속심도 황갈색이다. 편평한 내면의 바닥에는 단을 지워서 굽이 있는 부분과 일정한 경계를 보이도록 하였으며 굽은 수평으로 잘렸는데 지면과 닿는 부분이 굽의 몸보다는 약간 넓게 성형되었다. 외면의 저부 중앙에는 정면에 의한 회전동심원이 관찰되며 평평하다. 9는 회청색을 띠는 청자굽편으로 태토도 회청색인데 유약은 거의 탈락되었다. 배부에는 3군데에 받침흔적이 관찰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