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로면 적성리 갈박골 가마터 2 도자기편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로면 적성리 갈박골 가마터 2 도자기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적성리 갈박골 가마터 2지점에서 발견된 도자기편 <위치와 유적입지> 갈박골마을 뒤로는 남서로 달리는 해발 갈박골마을 동쪽으로 흐르는 소수계를 따라 올라가면 서쪽으로 수계와 접하여 평탄면이 나오고 서쪽으로 가파른 낮은 구릉지대를 형성하는데 가마터는 수계와 접한 동사면 단애에 위치하고 있는데 산소설치와 밭경작으로 유적은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이 곳에서 수습한 자기는 모두 백자편이지만 유약의 색깔은 짙은 회청색계‚ 회색계‚ 회백색계‚ 유백색계‚ 초벌구이로 나누어지며 종류는 대접‚ 접시‚ 도짐이‚ 요벽체편 등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1-2‚ 4-6은 백자 대접으로 추정되는 자료들인데 모두 빙열이 관찰되며 오목한 굽형식에 속하는데 1은 초벌구이편으로 속심은 적갈색이며 겉면은 회색인데 배부와 저부의 경계부분에 꺽여 있다. 내면 바닥에는 석립이 붙어 있으며 굽의 외면에는 붉은 접착제에 석립이 붙어 있으나 부분적으로 탈락하였다. 굽 중앙은 아래로 약간 볼록하게 마무리 하였다. 2는 1/2을 결실하였는데 유백색의 유약을 바른 재벌구이편으로 추측되는데 속심은 암자색(暗紫色)을 띤다. 내면에는 배부와 저부의 경계점에 얕은 홈을 돌려서 구분하였으며 바닥에 석립이 둥글게 붙어 있다. 외면은 테 쌓기의 흔적으로 보이는 요철이 나타나 있으나 내면은 매끈하게 정면하였다. 저부의 중앙은 아래로 약간 처졌다. 굽의 단면에 보이는 색깔은 붉은 색이다. 3은 6개의 접시가 가마 벽체에 엉켜서 포개진 상태인데 포개진 접시들이 소성과정에 넘어져서 가마벽체에 고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회백색계의 유약을 사용하였으며 제일 윗부분에 얹혀 있는 것의 바닥은 평평하며 내부에 연한 녹청색의 반점이 분출되어 있으며 제일 아래쪽의 접시 저부는 약간 들린 형태를 하고 있는데 가는모래로 덮여 있다. 접시의 포개진 면에는 굵은 석립으로 고착되어 있다. 4는 2점이 붙어 있는데 회청색계의 백자 발로 내외면에 빙열이 관찰되며 배부의 아랫부분까지 붉은 접착제에 담갔던 흔적이 관찰되며 석립이 붙어 있다.내외면의 중앙은 상하로 약간 볼록하게 성형-정면 하였다. 5는 회색계의 유약을 사용하였는데 내면 바닥에는 녹로흔이 동심원으로 남아 있고 중앙은 상하로 약간 볼록하게 성형되었다. 굽과 바닥 내면에는 석립이 붙어 있다. 석립을 붙이는 접착제의 색깔은 산화되어서인지 흑색으로 관찰된다. 6은 회색계의 유약을 사용한 것인데 내면 바닥과 굽에는 석립이 검붉게 산화된 접착제 위에 붙어 있으며 배부와 저부의 경계점은 꺽임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내외면 에는 빙열이 관찰된다. 내면의 바닥은 평평하지만 외는데 바닥은 굵은 석립이 고착되어 있어서 알 수 없으며 내면에는 암적색(暗赤色)의 벽체가 고착되어 있다. 접착제의 색깔은 유약과 같은 색깔로 판단된다. 10은 회청색계의 백자편으로 내면 바닥에는 석립이 둥글게 붙어 있으며 배부와 저부의 경계점에는 약간의 꺽임현상을 보인다. 내외면 에는 빙열이 관찰되며 굽은 오목한 형식인데 중앙은 상하로 약간 볼록하게 정면 하였으며 붉은 접착제에 석립이 붙어 있다. 11은 백자 종지로 회색계의 유약을 사용하였는데 내외면에 빙열이 관찰되며 바닥은 위로 약간 들렸으며 안에는 암적색(暗赤色)의 벽체편이 고착되어 있다. 바닥에는 가는 석립이 붙어 있는데 접착제의 색깔은 유약의 색과 동일하다. 12-15는 도짐이편 4점으로 태토에 흙과 석립을 섞어서 타원형의 개떡의 형태로 만들어서 대접이나 접시를 소성할때 바닥에 깔아서 사용하였는데 공통된 특징은 그릇을 놓는 내면의 가운데가 약간 패여 있다는 점과 모두 한 쪽이 높게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곧 가장 두꺼운 부분은 6.8㎝‚ 5.9㎝‚ 5.5㎝‚ 3.2㎝로 계측되며‚ 이러한 크기는 올려놓는 그릇의 종류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동시에 가마의 바닥이 일정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말해 주는 자료로 추측된다. 16-17은 벽체편 2점으로 석립과 흙이 혼합되어서 응결된 것인데 16은 담황색으로 유리질화 된 부분들이 관찰되며 17은 황토로 벽체를 보강하였던 부분으로 보이지만 보수의 횟수는 알 수 없다. 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성형하였다. 7-9는 모두 백자 접시로 빙열이 관찰되는데 7은 회청색을 띠는 백자접시로 1/3만 유존한다. 바닥 내외면에 석립이 붙어 있는데 접착제의 색은 유약과 같은 색이다. 바닥은 약간 들려 있는데 석립이 꽉 차있어서 상세한 것은 알 수 없다. 석립이 붙어 있는 바닥쪽은 약간 검은 색을 띠고 있다. 내외면 에는 회전정면에 의한 조정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다. 8은 회색계의 유약을 사용하였으며 바닥은 위로 오목하게 들려 있는데 전면에 가는 석립이 붙어 있어서 관찰은 불가능하다. 내면 바닥에는 동심원상의 녹로흔이 일부 관찰되며 굵은 석립이 원형으로 고착되어 있다. 9는 회색계의 유약을 사용하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