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주저고리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주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명주로 짠 저고리. <개설> 명주는 누애에서 뽑아낸 실로 옷감을 짠 것으로 이를 지어 저고리를 만들면 명주저고리가 되었다. <역사> 삼국시대부터 명주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명주 저고리 또한 삼국시대부터 만들어 입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명주는 너비가 좁은 평직의 견직물로 보통 명주라고 하면 연견직물을 말하는데 생견직물인 생명주도 있다. 문헌 기록에 의하면 견의 평직물은 삼국시대에는 ‘주’로 명명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주 또는 면주(綿紬)로 명명되었다. 명주는 제직 방법과 제직된 상태‚ 산지‚ 원료 등에 의하여 각기 다른 명칭이 있었는데 근년에 이르러 ‘명주’로 통합되어 명명되었다. 명주는 뽕나무를 재배하고 누에를 치는 잠상(蠶桑)에서부터 시작되어 명주실은 누에고치를 끓는 물에 넣어 실 끝을 풀어서 자새?왕챙이 등의 기구로 실켜기를 하여 제사(製絲)한 것이다. 이 명주실로 날실을 날고 베매기로 날실에 풀을 먹여 도투마리에 감아 베틀에 올려 잉아실을 걸고 날실 끝을 말코에 매면 명주짜기 준비가 모두 끝난다. 직녀가 베틀앉을깨에 앉아 부티를 허리에 걸고 베틀신을 신고 발을 앞뒤로 밀고 당기며 날실을 개구(開口)시켜 북 속의 씨실꾸리에서 씨실을 넣고 바디로 치면 명주가 짜이게 된다. 짜여진 명주는 베틀에서 떼어내어 필로 묶는다. 명주의 너비는 35~40㎝ 내외이며‚ 한 필의 길이는 20m정도이다. 또 명주의 품질은 승수로서 가름되는데 15승이면 극상명주가 된다. 명주로 옷을 지을 때는 물에 담가 풀을 다 뽑고 그늘에 널어 물기를 말려 다시 풀을 한다. 이것을 그늘에서 물기가 가실 정도만 말려‚ 다시 거두어 손으로 만지고 발로 밟아‚ 다듬이질?홍두깨질을 하여‚ 다리미로 다려서 사용한다. 풀은 녹말풀 등을 사용하며 실백을 갈아넣어 실백향이 은은히 풍기게도 하였다. 이와 같이‚ 예전에는 전국 각지의 가정에서 재래식 베틀로 명주를 짜서 옷감으로 자급자족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