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교자상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교자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명절날‚ 축하연‚ 회식 등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때 차리는 상. <개설> 교자상에는 술과 안주를 주로 하는 건교자상과 여러 가지 반찬과 면‚ 떡‚ 과일 등을 골고루 차린 식교자상‚ 식교자와 건교자를 섞어서 차린 얼교자상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교자상의 전통은 우리나라의 상차림에서 출발한다. 일상식은 밥과 반찬으로 차려진 반상차림‚ 연회나 큰 잔치가 있어 손님대접을 할 때에는 교자상차림‚ 간단한 손님대접에는 장국상 또는 주안상차림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교자상으로는 장방형의 큰 상이 쓰인다. 예전의 교자상은 길이가 80~90㎝‚ 너비가 60㎝ 내외이고 높이는 35㎝ 정도의 상이 사용되었는데‚ 근래에는 길이 120㎝‚ 너비 70㎝‚ 높이 35㎝ 내외의 상이 주로 사용된다. 상을 만드는 재료는 은행나무나 피나무상판에 소나무나 화류나무로 다리를 만들었다. 예전의 교자상은 크기가 작아서 필요할때는 상을 2‚ 3개를 붙여서 사용했다. 간단한 건교자상 차림은 회전반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큰 교자상은 장이나 농에서 볼 수 있는 마대가 달린 마제형 또는 구족형의 굵고 튼튼한 네 개의 다리 위에 다리 너비와 같은 크기의 상판을 얹었다. 상판은 네 귀를 연귀맞춤으로 짜서 만든 틀에 판면을 끼웠다. 하지만 넓은 판면이 귀해서 2‚ 3개의 판재를 이어 만들거나 부판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큰 교자상은 도드라진 전을 가진 재래의 교자상과는 달리 상의 전이 평면으로 처리되었다. 1950년대에는 합판 위에 합성수지를 입히고 다리를 접어 보관하도록 만든 간편한 방형의 교자상이 제작되었다. 요즈음에는 상다리는 물론 상판까지 반으로 접어 보관하기에 더욱 간편한 형태도 보인다. <사회문화적 의의> 교자상은 접대문화와 관련지어 발전하였다. 접대문화는 양반문화의 대표적인 문화로 양반문화를 봉제사접빈객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만큼 찾아오는 손님이 많았다고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