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주로 물이나 술‚ 식초‚ 기름 등 액체를 넣는데 사용하는 용기이다. <개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그 중 병은 물이나 술‚ 식초‚ 기름 등 액체를 넣는데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옹기로 만든 병은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주로 물이나 술‚ 식초‚ 기름 등 액체를 넣는 데 사용되었고‚ 콩이나 팥‚ 녹두 등을 비롯한 각종의 잡곡류 등을 담아내는데 쓰였다. 병의 명칭은 용기의 형태나 쓰임새 에 따라 붙여졌는데 목이 길고 좁은 것은 술병‚ 작은 병은 기름병‚ 작으면서 주구를 붙인 간장병‚ 목의 길이가 술병에 비해 짧고 손이 들어갈 정도로 구멍이 크며 아가리가 옆으로 퍼진 것은 앵병‚ 거북이와 같은 모양이라 하여 거북이 물병 자라와 비슷한 모양인 자라병‚ 양옆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된 편병‚ 앵병모양에 어깨 에 주구를 달아 액체를 부을 수 있도록 한 촛병 등이 있다. 이러한 병 종류는 쓰는 사람이 편한대로 내용물을 넣어 썼기 때문에 쓰임새가 매우 다양하다. 술병에 술이나 물‚ 식초를 넣기도 하였고 앵병에 콩이나 팥‚ 녹두 등 잡곡 등을 넣거나 식혜나 수정과 등과 같은 음료를 담기도 하였다. 이 병은 근개띠를 두르고 있다. 근개의 모서리 부분을 이용해 주로 어깨부분에 가느다란 음각선으로 표현되는데 전과 평행한 직선형이 대부분이며 물결문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근개띠는 대부분 1줄 이상 나타나며 띠와 띠 사이에는 음각의 물결문을 근개로 때려 그려 넣거나 누름띠‚ 꽃도장 등의 문양이 같이 표현되어 있는 것도 많다. <사회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