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독

추천0 조회수 7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저장용으로 만들어진 옹기 중에서도 그 크기가 큰 것을 일반적으로 항‚ 항아리 또는 독이라 한다. <개설> 옹기는 조미료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그 중 장독은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장과 김치를 저장하는 그릇으로 큰독은 김장김치나 간장을 보관하는데 쓰인다. 중 들이는 된장을 저장하고 작은 항아리는 고추장을 보관할 때 쓰인다. <역사> 처음에는 곡물을 저장하고 음식을 담아 먹고 보관하는 데는 목기나 소쿠리 등을 썼지만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서 단단하게 구워 내는 방법을 알아낸 뒤 우리에게 중요한 생활용품이 되었다. 질그릇은 고려에서 조선조로 이행되면서 생활이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됨에 따라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특수용기로 발전하였다. 질그릇은 고려 말에서 조선전기까지도 환원번조 만드는 토기였으나 그 질이 토기보다 연질이었다. 그 이후 불완전 환원을 절묘하게 하게 되어 검댕을 많이 입힌 것 검댕을 입히면서 표면을 연마하고 암문(暗文)을 시문(施文)한 것‚ 화도(火度)를 더 낮추어 아주 연약하게 만든 것 등 다양한 전개를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나타난 오지에는 매용제(융제)를 사용되었는데 오지그릇에 입혀 구우면 붉은 색이 나고 표면이 유리알 같이 매끈매끈하고 반짝반짝 빛이 난다. 이는 납을 주성분으로 한 화공 약품인 광명단이라는 것을 매용제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광명단(鉛丹‚ Pb3 O4)은 납을 산화하여 만든다고 하며 그 색은 중홍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토기는 다공질(太孔質)로 숨을 쉬며 아주 큰 것도 만들기가 쉽고 자기보다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쉽다. 그뿐 아니라 열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토기는 치밀질 석기계통과 치밀하지 않은 연질토기(질그릇)가 병행하였다. 이 두 가지 가운데서 치밀질 계통은 일부 자기로 발전‚ 이행되었고 또 일부가 오지그릇으로 이행되었고 질토기는 질그릇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독이라 불리면서 집집마다 설치했던 장독대에 가장 어른역할을 담당했던 장독이라는 그 크기가 대략 70-90cm정도이다. 간장은 우리네 전통 음식맛을 내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장맛이 변하면 집안이 망한다’라는 속설이 있을 정도이다. 장독은 예부터 여인네들로부터 지극히 정성스런 대접을 받아왔다. 간장을 담근 뒤 장독에 새끼로 꼰 줄을 치거나 버선본을 떠서 거꾸로 붙인다거나 붉은 고추와 대추‚ 그리고 불에 달군 숯 등을 넣는 것도 그 정성의로 그려지기보다 2~3줄의 목질띠나 근개띠 사이에 그려진다. 산을 반복하여 그려줌으로서 둥근 항아리와 함께 조화를 이루어 넉넉함을 준다. 또한 이 독의 중간부분에는 풀꽃문으로 되어있다‚. 풀꽃문은 풀과 꽃모양을 표현한 풀꽃문은 주로 대칭으로 많이 그려져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잿물을 바른 후 마르기 전에 손가락으로 그리거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도구를 이용해 음각으로 그리기도 한다. 또한 풀이나 꽃잎 등을 그릇 표면에 붙이고 잿물을 바른 후 마르기 전에 손가락으로 그리거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도구를 이용해 음각으로 그리기도 한다. 본 박물관 소장품은 양손을 이용하였는데 표현방법은 잿물이 마르기 전에 손으로 그리는 그림이 대부분이다. 풀꽃문 사이에 곡식을 상징하는 타원형이 같이 그려져 있는 문양이 있는데 제일 위쪽 중앙에 꽃을 그려 장식해 주기도 한다. <사회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유사 관련 용어> 장항‚ 장항아리 한 예이다. 이는 혹 장에 깔지도 모르는 부정을 방지 하고자 하는 마음과 맛을 새롭게 하려는 속신적 기원이 담긴 것으로서‚ 버선본을 거꾸로 붙인 것은 혹 장맛이 변했더라도 다시 본래의 맛으로 되돌아오라는 것이고 숯‚ 대추‚ 고추를 넣은 것은 숯과 같이 검고 고추처럼 붉고 대추처럼 단맛이 나라는 마음의 표현인 것이다. 이 독의 어깨부분에는 산모양문으로 되어있다. 산이 지니는 부드러운 선의 형태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 모양은 곡선의 배가 위로 향해 있다. 손가락의 검지나 중지를 이용하여 한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선으로 표현되었다. 옹장에 따라서 새끼손가락을 구부려 손가락의 바깥부분을 기벽에 대고 그리는 경우가 있다. 산모양은 단독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