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물독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물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을 담아놓는 항아리이다. <개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그 중물독은 주류 발효도구나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옹기 중 하나로 물을 길어 나르므로 물동이라도 부른다. 둥글고 배가 부르며 아가리가 넓고 보통 양 옆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크기는 대두(?斗)한말과 들이가 보통이어서 액체를 샘하는 기준이 되었다. <역사> 처음에는 곡물을 저장하고 음식을 담아 먹고 보관하는 데는 목기나 소쿠리 등을 썼지만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서 단단하게 구워 내는 방법을 알아낸 뒤 우리에게 중요한 생활용품이 되었다. 질그릇은 고려에서 조선조로 이행되면서 생활이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됨에 따라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특수용기로 발전하였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물독은 대체로 부엌의 한켠에 세워두거나 부뚜막의 한 부분을 파서 묻고 사용하였는데 옛날마을의 부잣집은 우물을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집들은 마을에 있는 공동우물이나 냇 우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집집마다 물항아리를 갖추어 놓았던 것이다. 여기에서 물을 길어다 물항아리에 부어놓고 사용하였다. 여자아이들은 예닐곱살만 되면 벌써 수박동이라는 조그마한 물동이를 이고 물긷는 훈련부터 했다. 우물가의 물긷는 아낙네의 모습과 물동이를 머리에 이고 동네 어귀를 접어드는 여인네의 모습은 우리나라 옛 풍경에서도 가장 정겨운 고향의 모습이다. 이렇게 운반된 물은 다시 물두멍에 담았는데 첫째 물을 아끼려는 조상들의 검약정신이요‚ 둘째는 물을 가라앉혀 정수해 먹으려 는 지혜의 두 가지 효과를 노렸다. 이물두멍은 다른 독들보다 키가 작은 운두가 넓어 물 뜨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독보다 아름다운 형태와 물고기모양이 많이 발견된다. 이 물독은 운반하기 쉽게 양 손잡이가 만들어져 있다. <사회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다. <유사관련용어> 물두덩이‚ 물항아리‚ 물동이‚ 수박동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