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술독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술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저장용으로 만들어진 옹기 중에서도 그 크기가 큰 것을 일반적으로 항‚ 항아리 또는 독이라 한다. <개설> 옹기는 조미료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그 중 장독은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장과 김치를 저장하는 그릇으로 큰독은 김장김치나 간장을 보관하는데 쓰인다. 중 들이는 된장을 저장하고 작은 항아리는 고추장을 보관할 때 쓰인다. <역사> 처음에는 곡물을 저장하고 음식을 담아 먹고 보관하는 데는 목기나 소쿠리 등을 썼지만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서 단단하게 구워 내는 방법을 알아낸 뒤 우리에게 중요한 생활용품이 되었다. 질그릇은 고려에서 조선조로 이행되면서 생활이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됨에 따라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특수용기로 발전하였다. 질그릇은 고려 말에서 조선전기까지도 환원번조 만드는 토기였으나 그 질이 토기보다 연질이었다. 그 이후 불완전 환원을 절묘하게 하게 되어 검댕을 많이 입힌 것 검댕을 입히면서 표면을 연마하고 암문(暗文)을 시문(施文)한 것‚ 화도(火度)를 더 낮추어 아주 연약하게 만든 것 등 다양한 전개를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나타난 오지에는 매용제(융제)를 사용되었는데 오지그릇에 입혀 구우면 붉은 색이 나고 표면이 유리알 같이 매끈매끈하고 반짝반짝 빛이 난다. 이는 납을 주성분으로 한 화공 약품인 광명단이라는 것을 매용제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광명단(鉛丹‚ Pb3 O4)은 납을 산화하여 만든다고 하며 그 색은 중홍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토기는 다공질(太孔質)로 숨을 쉬며 아주 큰 것도 만들기가 쉽고 자기보다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쉽다. 그뿐 아니라 열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토기는 치밀질 석기계통과 치밀하지 않은 연질토기(질그릇)가 병행하였다. 이 두 가지 가운데서 치밀질 계통은 일부 자기로 발전‚ 이행되었고 또 일부가 오지그릇으로 이행되었고 질토기는 질그릇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독이라 불리면서 집집마다 설치했던 장독대에 가장 어른역할을 담당했던 장독이라는 그 크기가 대략 70-90cm정도이다. 간장은 우리네 전통 음식맛을 내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장맛이 변하면 집안이 망한다’라는 속설이 있을 정도이다. 장독은 예부터 여인네들로부터 지극히 정성스런 대접을 받아왔다. 긴장을 담근 뒤 장독에 새끼로 꼰 줄을 치거나 버선본을 떠서 거꾸로 붙인다거나 붉은 고추와 대추‚ 그리고 불에 달군 숯 등을 넣는 것도 그 정것도 많다. 근개띠는 대부분의 항아리에서 보여지는데 항아리 뚜껑을 덮었을 때 항아리가 외소해 보이지 않고 둥그스름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물결문도 같이 있는데‚ 곡선의 배가 아래로 향한 것이나 구불구불한 문양‚ 직선으로 이루어진 문양을 모두 포함한다. 고선의 배가 아래로 향해 뒤집어 놓은 문양으로 작업과정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항아리의 어깨의 대부분에 나타나는 경우는 주는 목질띠 또는 근개띠 사이에 손띠그림으로 표현되었다. <사회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성의 한 예이다. 이는 혹 장에 깔지도 모르는 부정을 방지 하고자 하는 마음과 맛을 새롭게 하려는 속신적 기원이 담긴 것으로서‚ 버선본을 거꾸로 붙인 것은 혹 장맛이 변했더라도 다시 본래의 맛으로 되돌아오라는 것이고 숯‚ 대추‚ 고추를 넣은 것은 숯과 같이 검고 고추처럼 붉고 대추처럼 단맛이 나라는 마음의 표현인 것이다. 이 독은 근개띠를 두르고 있다. 근개의 모서리 부분을 이용해 주로 어깨부분에 가느다란 음각선으로 표현되는데 전과 평행한 직선형이 대부분이며 물결문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근개띠는 대부분 1줄 이상 나타나며 띠와 띠 사이에는 음각의 물결문을 근개로 때려 그려넣거나 누름띠‚ 꽃도장 등의 문양이 같이 표현되어 있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