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드랫돌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드랫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발이나 돗자리를 칠 때 날을 감아 매어 늘어뜨리는 돌.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발을 만드는 순서는 우선 대의 껍질부분은 자연방수 될 수 있도록 비닐막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막 안에 초록빛의 물질이 덮어져 있으므로 벗겨내지 않으면 염색이 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박피가 마르면서 검은색으로 변해서 색이 좋지 않기 때문에 표피를 제거한다. 시누대는 마디가 매끈하며‚ 직경 10mm이상 크지 않으므로 대발하나를 만들기 위해 100통의 대가 필요하지만 대올을 엮어 작품을 완성 해 놓고 보면 대마디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 후 큰 가마솥이라도 120-150cm의 대올을 솥 안에 넣으려면 둥그렇게 휘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삶아서 끄집어내어 식히면 둥근 모양 그대로 굳어져 재료로 쓰지 못하므로 뜨거울 때 펴서 식힌다. 끝이 뾰족한 송곳 같은 것으로 철판을 내리쳐 두드리면 철판의 반대편이 뾰족하게 튀어나온다. 나온 부분을 숫돌에 갈면 튀어나온 부분의 편편하게 되면서 구멍이 나는데‚ 구멍 주위에 날이 선다. 직경 0.5mm-1mm 정도의 구멍을 5개정도 뚫어 큰 구멍에서부터 작은 구멍으로 대올을 차례로 뽑으면 일정한 굵기의 대올이 완성된다. 쇠로 된 집게로 잡아당기게 되면 힘에 의하여 대올이 으깨지기 때문에 탄력성이 있는 나무로 집게를 만드는데‚ 참나무를 베어 진흙탕 속에 5-6개월 묻어 두어 진을 뺀 후 말려 만든다. 검정실로서 만들 때는 땡감을 짓이겨서 나온 감물을 무명실. 명주실에 물들여 사용하며 바깥쪽의 테두리에 두르는 베도 이때 물들인다. 치자물을 들여 대올을 이용하므로 우리 동양인의 피부색과 비슷하기 때문에 선호했으나 지금은 염색을 원하는 사람이 드물다. 한지(닥종이)를 짓이겨 점토와 반죽한 흙으로 장고 모양으로 만들어 실을 감아 고드래에 묶어 늘이고 발을 엮는다. 고드래는 크기에 비하여 무겁지 않아 요즘은 납으로 만들어 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