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절구공이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절구공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곡식을 빻거나 찧는 데 쓰는 나무. <개설> 찧을 곡식을 나무나 돌의 속을 절구에 넣고 나무나 돌 막대기 등으로 찧어서 가루를 내는데 이 때 사용하는 나무나 돌 막대기를 절구공이라고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절구공이의 재료나 모양도 절구에 못지 않게 다양하다. 나무공이는 위아래가 둥글고 손에 쥘 부분만 파내었고 지역에 따라서 공이의 끝부분에 돌을 박아서 쓰기도 한다. 돌공이는 공이 끝에 나무자루를 박으므로 자루와 몸이 직각을 이루는데 쇠공이 중에도 돌공이와 비슷한 것이 있다. 특히‚ 남부지방에서는 한 집에서도 크기가 다른 나무공이를 여러 개 사용한다. 그리고 절구공이의 허리가 걸릴 만큼 파낸 공이대를 부엌 옆 벽에 붙이고 여러 개의 공이를 걸어둔다. 절구는 주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데 사용하며‚ 절구가 크고 일감이 많을 때에는 두 사람이 마주서서 절구질을 한다. 절구질을 한 사람이 할 때에는 다른 사람이 나무주걱 같은 것으로 곡물을 뒤집어주기도 하는데 이것을 ‘께낌질’이라고 한다. 때로는 절구에 떡을 치기도 하고 세탁물을 넣고 공이로 찧어서 때를 빼는 수도 있다. 또한‚ 나무절구는 가로로 뉘어 놓고 개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나무절구에 나무공이로 벼 한말을 찧는 데에는 약 한 시간쯤 걸린다. 돌공이는 나무공이에 비하여 시간이 반밖에 걸리지 않지만 공이 자체가 무거워서 힘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정월의 첫 소날(上丑日 상축일)에 절구질을 하면 집안의 소가 골이 아파서 죽거나 병이 생긴다고 하여 이를 삼가는 풍습이 있다. 또‚ 우리 나라의 중부 이남에서는 보름날 새벽에 절굿공이를 가지고 집마당이나 밭에 가서 ‘디지기방아 찧자‚ 디지기방아 찧자.’하면서 찧고 다니면 굼벵이나 두더지?독벌레들이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보름날 아침 절굿공이로 마당의 네 귀퉁이를 찧고 나서 땅이 얼마나 들어갔는가를 살핀다. 이때 동쪽은 봄‚ 남쪽은 여름‚ 서쪽은 가을‚ 북쪽은 겨울로 여기고 땅이 많이 팬 쪽의 땅은 그 해에 물이 흔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는 가뭄이 든다고 점을 치며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절구에 여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유사관련용어> 도구통‚ 도구‚ 절기방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