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웜트레일

추천0 조회수 1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웜트레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웜트레일은 지질구조 가운데 생흔화석(trace fossil: 퇴적물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생물의 생활흔적이 보존되어 있는 화석으로 흔적화석이라고도 한다. 족적·긴 흔적·소공·배설물 등의 화석이 이것에 포함되며 고생물의 생리나 생태복원에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다모류 -환형동물문의 한 강으로 환형동물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한다. 다모류의 일부가 육상으로 올라와 빈모류(지렁이류)가 되고‚ 빈모류 중에서 담수로 들어간 것이 거머리류(일명 질류)가 되었다. 몸통은 많은 체절로 이루어지며 각 마디에 두꺼운 옆다리와 센털이 많다. 같은 다모류 중에서도 지렁이는 몸마디에 센털이 조금밖에 없으므로 빈모류라고 한다. 다모류의 대부분은 바다의 돌 밑이나 해조의 뿌리 근처‚ 모래나 진흙 속에 대롱 모양의 구멍을 만들고 그 속에 들어가 산다. 일생을 플랑크톤 상태로 물 속을 떠다니기도 한다. 대부분 몸길이 2∼20㎝인데‚ 작은 것은 약 5㎜에 불과하고 갯지렁이과의 큰 것은 약 3m에 이른다. 전세계에 약 8‚000종이 알려져 있다. 머리에는 촉수와 눈이 있으나‚ 종류에 따라 모양과 기능이 다르다. 머리와 몸통이 하나이고 몸의 말단까지 같은 모양의 마디가 연속되는 것과 몸통이 가슴과 배의 둘로 나뉘어 각기 다른 모양의 마디로 이어지는 것이 있다. 앞의 것을 유재류‚ 뒤의 것을 정재류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저서류는 대롱 모양의 구멍을 만들고 그 속에 들어가 산다. 옆다리의 모양도 종류에 따라 다르다. 키틴질의 센털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어떤 종은 옆다리에 아가미가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돕는데‚ 아가미가 없는 옆다리에는 모세혈관이 거미줄같이 분포되어 있다. 등쪽 혈관에서 나온 혈액은 체벽이나 옆다리의 모세혈관을 지날 때 산소를 받아들여 배쪽 혈관으로 들어간다. 혈액은 헤모글로빈을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띠지만‚ 종에 따라 클로로크루오린(chlorocruorin)을 함유하여 녹색을 띠기도 한다. 소화기관은 입·인두·식도·장·항문 순으로 몸의 중심을 세로로 지난다. 식성은 종에 따라 육식성‚ 진흙 속의 유기물을 소화 흡수하는 것‚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것 등이 있다. 갯지렁이나 털갯지렁이류는 커다란 낫 모양의 이빨로 먹이를 집어 삼킨다. 육식성 종의 먹이는 주로 무척추동물이다. 자웅이체이나 암수의 외형적 차이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갯지렁이나 털갯지렁이류는 번식기가 되면 물 속을 헤엄치기에 알맞은 모양으로 몸이 바뀌는데‚ 암수가 각각 헤엄치면서 알과 정자를 방출하여 수정시킨다. 누른점갯지렁이는 젤라틴질의 주머니에 알을 넣어 대롱 끝이나 해조류에 매달아 둔다. 일부 무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다. 갯지렁이구는 분형학이라 하는데‚ 화석조흔학·화석분형학의 발전이 기대된다. 오스트리아의 고생물학자 O.아벨(1875∼1946)은 생식‚ 운동‚ 영양과 양육‚ 거주‚ 공동생활‚ 투쟁·상해·질명‚ 죽음의 7가지 행동양식으로 분류하여 흔적을 연구하였다. 류와 털갯지렁이류는 낚시 미끼로 적합하여 양식하기도 한다 - 나 연체동물의 긴 흔적‚ 파충류·사족동물의 족적‚ 어류·연체동물·척추동물의 배설물 등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의 일종으로 worm(벌레‚ 연충‚ 기생충 등)의 이동한 흔적을 말한다. trail은 파행흔으로 기어간 흔적을 말한다. 게다가 생흔화석은 생물의 생활 흔적이 지층 중에 보존된 만큼 그 지층이 퇴적될 당시의 환경을 그대로 반영하므로 지사나 퇴적 환경을 연구할 수 있게 해주는 자료가 된다. 흔적화석의 연구를 화석흔적학이라 하는데‚ 이는 산출상태나 비교형태학적 연구에서 시작되며‚ 현생 생물의 흔적에 관한 지식을 보충하고 있다. 특히 족적의 연구는 족흔학‚ 배설물의 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