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청화유병

추천0 조회수 1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청화유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이것은 향유를 담는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시대의 청자 유병(油甁)이다. 유병은 향유(香油)나 머릿기름 등의 기름을 담는 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서부터 나타나며 고려청자를 거쳐 조선시대의 백자 및 청화 백자에 이르기까지 많이 만들어졌다. 가장 작고 앙증맞은 향유 병에서부터 연지 반죽용 기름을 담는 작은 병‚ 비교적 큰 머릿기름용 병 등‚ 안에 담긴 기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가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긴 머리카락을 가꾸기 위해 머릿기름이 필요했는데 동백‚ 아주까리 수유의 씨‚ 들깨 등으로 기름을 짜서 유병에 담아두고 썼던 것으로 보인다. 머릿기름은 햇빛에 민감했기 때문에 이를 담는 유병은 몸통이 불룩하고 목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이 유병은 병의 몸체와 긴 목 부분이 모두 네 면으로 이루어진 각형(角形)의 청화 백자 병이다. 몸체에는 물결 위에 떠있는 오리가 각 면에 청화로 그려져 있다. 목의 아래 위로는 X자형의 풀꽃무늬를 둘렀다. 오리는 문헌상의 기록보다도 우리나라 민속에서 그 상징성을 찾아볼 수 있다. 오리는 짝을 이룬 뒤 하나가 죽으면 뒤따라 죽는다는 민간 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오랜 옛날부터 행복과 생산의 상징으로 존중되어 왔다. 물결문은 장수를 상징한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영구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결무늬는 각양 각색의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낭수(浪水‚ 치솟는 모양)‚ 와수(臥水‚ 잔잔히 흐르는 모양)‚ 입수(立水‚ 물결치는 모양)의 세 가지 형식을 갖추고 있다. 낭수는 수면 위로 튀어 오르는 물방울 모양이고‚ 입수는 무지개 모양과 비슷하게 좌우의 빗살무늬로 나타나는 형태이며‚ 와수는 동심원이 중첩되어 물고기 비늘을 닮은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물결무늬는 복해(福涇)를 상징하고‚ 물결 조(潮)와 조정을 의미하는 조(朝)가 발음이 비슷하여 조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풀꽃무늬는 뚜렷이 알 수 없는 풀‚ 꽃 등의 무늬를 말한다. 특히 17C 후반에 둥근 항아리‚ 병‚ 대접 등에 활발하고 자유분방한 필치로 표현된 조선백자의 대표적인 문양이기도 한다. 풀꽃무늬는 대칭형을 이루며 간단하고 소박하게 표현되며 사실적인 문양보다는 단순화된 문양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서 자연스러운 서민의 인식과 풍치를 발견할 수 있다. 풀꽃문은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자연에 순응할 줄 아는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풀꽃문의 꽃은 초롱꽃‚ 용담‚ 패랭이‚ 국화 등을 그려 때로는 구분이 매우 애매하다. 풀꽃문은 한국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문양소재로 풀벌레와 바위와 더불어 자주 시문(視紋)되었고 이러한 풀꽃문의 전성기는 조선시대 중반에 해당된다.개별문양풀꽃문오리문‚물결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