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신문(29168)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신문(29168)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문양설명건축이나 고분‚ 주술도구에 벽사와 수호의미로 새겨 넣은 귀신이나 도깨비의 문양이다. 그 기원은 중국 주대(周代)의 청동기에 시문된 도철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로 얼굴 부분을 표현했으나 몸의 형상을 부분적‚ 전체적으로 드러낸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와전이나 고분벽화‚ 포수(鋪首) 및 각종 공예품 등에 표현하였다. 귀신문은 불교 미술뿐만 아니라 생활 문양으로도 자주 나타나며‚ 삼국시대의 기와에서부터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고대에는 선귀(조상신)나 각종 신들이 신봉의 대상이 되었다. 회남자(?南子) 권 13「범논훈(氾論訓)」에서는 ‘화제(火帝)는 불의 덕으로 왕이 되었다가 죽어서 총신(寵神)이 되었고 우(禹)는 천하를 위하여 수고했다가 죽어서 곡신(穀神)이 되었고 예는 천하의 해를 제거하고 죽어서 종포(宗布)가 되었다. 이것이 귀신이 생긴 까닭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조상신에 대한 이야기는 신라의 호국설화나 문무왕의 호국대룡(護國?龍) 설화와 같은 한국의 고대설화에서도 나타나므로 이를 통해 선귀를 숭앙하였던 옛 풍속을 알 수 있다. 이밖에도 고대에 궁중에서 마귀와 사신을 반기위해 베풀어진 나례(儺禮) 풍습이나 기두(네 개의 눈이 달린 방상씨(方相氏) 가면)를 쓰고 귀신을 유희‚ 중국의 개국설화에 등장하는 벽사신인 치우의 형상을 그려 붙이던 풍습 등에서 귀면무늬의 초기 형태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1의「도화녀(桃花?)와 비형랑(鼻荊郞)」설화에 기반을 두고 비형에 관한 글을 지어서 집에 붙여 귀신을 물리쳤다는 풍속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부인을 도둑맞고 춤을 추었다는 내용의「처용랑(處容郞)」에 등장하는 처용의 모습을 묘사한 대목을 통해 옛 사람들이 생각한 도깨비의 모습을 알 수 있다. 귀면의 상징적 의미는 신이 갖고 있는 힘으로 천재지변과 전쟁‚ 전염병‚ 기근 등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는 토속신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벽사신앙은 고대인들이 추구했던 장생사상(長生??)과 기복신앙의 필수적인 요소였으며‚ 귀면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 된다. 주로 고분‚ 궁궐이나 사원 등의 건축물에 쓰인 기와‚ 문고리‚ 주술적(呪術的)인 제기(祭器)의 장식에서 상징적인 의미의 무늬로 전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